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아주대 김하진 교수의 '0을 이해 못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출발했으므로 감정도 수학적 논리로 이해시킬 수밖에 없다. 방정식을 푼다는 것은
곧
인간과 컴퓨터가 대화를 나눈다는 의미와도 같다. 이것이 바로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다 ...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그렇게 놀면서 연구하는 직업을 가졌으면 했는데 마침 제 전공이 안성맞춤이었죠.”그는
곧
유학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4년 내내 방치했던 성적을 다시 메우기란 쉽지 않았다. 그러나 정말 뜻있는 자에게 길이 있는 것일까. 인생의 이정표가 돼 준 에드먼즈 박사의 적극 추천으로 미국으로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러플린, KAIST 총장 취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거듭날 것 유진 부총장의 소개로 KAIST 교수들과 간단히 인사를 마친 러플린 박사는
곧
기자회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연구중심대학의 본질은 어디나 동일하다”고 밝히면서 “(자신이 몸담았던) 미 스탠퍼드대와 KAIST의 상황은 다르지만 연구중심대학이라는 속성은 같다”는 말로 총장직에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나타났다. 클리오니는 연체동물의 한 종류인데 몸에 달린 작고 귀여운 날개로 헤엄친다.
곧
눈앞에 붉은색의 커다란 별이 나타났다. 팔이 5개 달린 불가사리다. 심해환경 보존 위한 한·불 공동연구 조종사가 배터리를 확인하더니 이제 물위로 올라가야 한다고 한다. 시계를 보니 4시 10분. 2시 2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최근 진행 중인 인간 유전체 해독과 더불어 그 속도가 더욱 빨라지리라고 예상된다.
곧
건강 연령이 30세인 70대 할머니나 할아버지를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되지 않을까.춘추전국시대 맞은 해피드럭 시장해피드럭은 이제 제약업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투쟁을 하지 않고도 친밀한 관계로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음을 알게 해줬고, 이는
곧
공존을 중요하게 여기는 21세기의 새로운 생명모델의 바탕이 되고 있다. 티스푼 하나만큼의 흙에도 유전적으로 서로 다른 미생물이 수만가지나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면서 한 움큼의 흙을 들어 올려보자. ... ...
민간 유인로켓, 고도 64km 비행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화이트 나잇’에서 로켓을 분리시키고 약 10초 뒤 마하 2.5의 속도로 45km에 진입했으며
곧
64.4km에 도달했다.캘리포니아 모하비공항에 기반을 둔 스케일 컴포지츠사는 “이번 비행은 민간 유인우주비행을 실현시키려는 노력에 또 하나의 기념비적 사건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하벙커에 있는 작전지휘소로 호출된다. 한쪽 벽면을 가득 차지한 모니터 화면에
곧
불이 들어오자 지상 2백50km 상공에 떠있는 첩보위성이 보내온 동영상이 화면을 가득 채운다. 위성이 잡은 것은 북아프리카 지역이다. 화면을 확대하자 일단의 특공대가 반군 캠프를 습격하는 모습이 실시간으로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결국에는 염색에 실패하게 된다. 또 석회 배합비율이 맞지 않으면 염색을 하더라도
곧
색이 쉽게 빠져 버린다.이틀 뒤 석회가 색소를 머금고 가라앉으면 위쪽에는 맑은 물이, 아래쪽에는 푸른빛 물이 남는다. 이 남은 물과 쪽대나 콩대를 태워 만든 잿물을 적당하게 섞어 두달 가량 보관하면서 가끔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신뢰성이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면 추가적인 조사가 뒤따라야만 한다.고래 보존·관리는
곧
해양생태계 보호지구상 최대 크기로 대표되는 대형고래의 무분별한 남획은 한반도 자연사에 뼈저린 상처를 남겼다. 최근 들어 무분별한 해양 개발로 집을 잃거나 그물에 걸려들어 목숨을 잃은 고래수가 부쩍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