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6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정크푸드에 탐닉하는 사람보다는 더 건강하게 오래 살겠지만 ‘1즙1채’인 사람과는 별
차이
가 없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나구모 박사의 주장은 과격한 게 사실이지만 책에서는 나름대로 자제하는 모습이 보인다. 즉 성장기인 어린이나 청소년, 가임기의 여성에게는 1일1식은 위험하다며 1즙1채를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이고 가축화된 말은 ‘에쿠스 페루스 카발루스(Equus ferus caballus)’다. 겉모습이 꽤
차이
가 남에도 한 종으로 묶은 건 프르제발스키 말과 (가축화된) 말 사이에 생식력이 있는 새끼가 태어나기 때문이다. 반면 당나귀와 말 사이에서는 생식력이 없는 새끼(노새나 버새)가 태어나 둘이 서로 다른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그리고 오송과 유사한 형태의 의료복합단지는 대구에도 들어설 계획이다. 두 센터의
차이
점을 묻는 질문에 센터장은 “오송은 바이오, 생명과학을 기본으로 사업을 벌인다면 대구는 화학기술을 기본으로 하는 ‘합성신약’에 주력하는 점이 다르다”며 “대전 대덕연구단지 인근에 있다는 지역적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위해 필요한 정책은 투자만이 아니다. 바이오화학제품은 기존 석유화학제품과 미세한
차이
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인증제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같은 플라스틱이라도 열대지방에서 생산한 바이오플라스틱은 우리나라의 추운 겨울을 견디지 못한다. 굳거나 심하면 깨진다. 정 본부장은 "시장을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국내 생명과학은 눈부시게 발전했지만 아직도 미국 등의 선진국과 많게는 10년 이상
차이
가 난다”며 “모든 분야를 잘 하려는 ‘평균 경쟁’을 해서는 승산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가능성 있는 분야를 선택해 집중 지원하는 ‘수월성 경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에는 줄기세포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연구자 수준도 양적·질적으로 낮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 결과 연구 경쟁력에 큰
차이
를 보인다는 것. 현 교수는 “한국 임상의 교수들도 환자를 보며 얻은 데이터로 많은 논문을 내고 있지만 미국 의학 연구진만큼 최고 수준 학술지에 논문을 내는 단계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협상 자리를 지킵니다. 반면 우리는 담당공무원이 너무 자주 바뀌죠. 협상 능력에서
차이
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그는 공무원이 아닌 별도의 정책 전문집단을 두는 게 현실적이라고 내다봤다. 김 원장은 “올해 국가 R&D 예산이 14조9000억원이지만 여전히 충분한 규모는 아니다”라며 “한정된 ... ...
일률적인 연구평가방식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0.06
“IF가 그나마 객관적인 지수”라면서도 “해당 분야의 권위지라도 IF가 크게
차이
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생태환경 분야 학술지의 IF는 대부분 3을 넘지 않는다. 연구 인력이 적어 인용되는 횟수도 낮기 때문이다. 반면 분자생물학 분야의 상위 학술지는 20이 넘는다. 유 책임연구원은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조울증을 앓게 된다는 것. 오 교수는 “뇌의 특정 부위를 정상인과 비교하면 유의미한
차이
가 보인다”며 “현재 이 논문을 투고 중에 있다”고 귀띔했다. 하지만 오 교수가 처음부터 탄탄대로를 걸었던 것은 아니었다. 오 교수의 시작은 가시밭길에 가까웠다. 오 교수는 누구나 그렇듯 “교수로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5.06
CEO)가 이곳 캠브리지를 고집하며 머물게 됐다. ▽윤태영=한국과 미국의 문화적
차이
가 있는 것 같다. 한국은 정부 주도의 생명공학(BT) 개발이 이뤄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인프라 구축이 계획적이란 뜻이다. 한국의 BT 관계자들은 보스턴의 뛰어난 클러스터를 궁금해 하지만 사실 보스턴은 물론이고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