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4,01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불평등하다" 코로나19가 제기한 윤리 논쟁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일명 ‘면역 여권’ 정책의 도입을 시사했다. 이 제도에 대해서도 생명 및 의료윤리
학자
들이 검토에 나섰다. 고빈드 퍼새드 미국 덴버대 법대 교수 등은 7일 JAMA에서 “자유와 자율에 대해 ‘최소제약대안(LRA)’ 원칙에 따른다면 공중보건을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자유만 침해하는 방법을 택해야 ... ...
제2회 한미 젊은의
학자
학술상에 김수진 고려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5.12
열린 64차 한국여자의사회 정기총회에서 진행됐다. 한미 젊은의
학자
학술상은 젊은 여성 의사의 연구 의욕을 키우고 학술연구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취지로 지난해 제정됐다. 연구 업적이 우수한 한국여자의사회 회원 중 수상자가 선정된다. 1회 학술상은 올해 총선에서 더불어시민당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지 80년 되고 이를 이용해 광합성 메커니즘 규명한 지 70년이 되는 올해 까마득한 후배 과
학자
들이 합성생물학이라는 신기술을 동원해 인공 엽록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1903년 라이트 형제의 첫 동력비행은 12초 동안 36m를 날아간 데 불과했지만 훗날 수천㎞의 비행으로 이어졌다. 이렇듯 이번 첫 ... ...
'코로나19 효과 있는 최상의 치료제 조합을 찾아라'…전 세계는 '병행투약' 실험 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5.12
완벽하지 않아” 렘데시비르가 가장 먼저 FDA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았지만, 여전히 많은
학자
들이 대안 치료제를 시험하는 이유는 렘데시비르조차 아직 만족할 만한 치료 효과를 보이지 않고 있어서다. 지난달 30일, 렘데시비르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가 주도한 ... ...
한국 광학과 레이저 연구 개척자 신명 이상수 선생님의 10주기를 추모하며
2020.05.09
전달한 기금으로 '이상수 어워드'가 제정됐다. 이 상은 세계적인 저명한 과
학자
가운데 자국의 광학과 광산업에 공헌한 사람을 선발해 한국광학회와 미국광학회가 공동으로 격년으로 주고 있다. 올해는 네 번째 수상자로 인도공대(IIT)의 아조이 가탁 교수가 선정돼 인도의 광섬유 광학 분야를 ... ...
[주말N수학] n번방 사건, 텔레그램은 아무 잘못이 없나
수학동아
l
2020.05.09
깊이 생각해야 합니다. 사회에서 살아가는 인간으로서 사고를 멈춰서는 안 됩니다. 과
학자
는 그 점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200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마스카와 도시히데 ※관련기사 수학동아 5월호, n번방 사건, 텔레그램은 정말 아무 잘못이 없을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걱정이 과할 때 '초점착각'에서 벗어나라
2020.05.09
시험 준비를 준비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비슷하게 미시간 대학의 심리
학자
줄리 노렘의 연구에 의하면 일이 잘 될 거라는 희망보다 잘 안 될 거라는 불안과 걱정에 더 크게 동기부여 받는 사람들이 있으며 이들의 경우 마음을 놓고 있을 때보다 적당히 걱정하고 있을 때 더 성과가 잘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05.09
0억~120억 년이었다. 허블상수는 지금도 더 정확한 값이 등장할 때마다 바뀌고 있다. 천문
학자
들은 정확한 허블상수를 구하기 위해 여전히 연구 중이다. 2020년 4월 기준, 가장 최근에 측정된 값은 2019년 3월 아람 리스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이 발표한 값이다. 기존에 우주에서 추정한 값인 67.4km ... ...
WHO "휴먼 챌린지 임상 코로나 백신 개발에 도움" 윤리논란 최소화 위한 8가지 기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07
보일 수 있으며 비윤리적 연구가 진행된 수많은 사례가 있다”면서도 “윤리
학자
들 사이엔 일정한 조건 아래 윤리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과거 연구들 모두 연구윤리위원회 감독 아래 수만 명의 성인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안전하게 수행됐다는 ... ...
영화 '쥬라기공원' 속 영악한 '랩터' 모델 집단사냥 안 했다
연합뉴스
l
2020.05.07
Palaeoecology)에 발표했다. 데이노니쿠스의 집단 사냥은 작고한 예일대 유명 고생물
학자
존 오스트롬 박사가 제기한 것으로 지금까지 널리 인정돼 왔다. 데이노니쿠스 몇 마리가 초식공룡인 테논토사우루스를 습격한 것으로 보이는 화석이 근거가 됐다. 그러나 최근에는 데이노니쿠스가 서로 협력해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