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작
감염
영향
전염
뇌일혈
뉴스
"
발병
"(으)로 총 1,976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물 샤워, 과학적인 성과 내다
과학동아
l
2016.09.13
‘네이처 제네틱스’ 7월 25일자에 발표했다. ALS 환자의 약 10%는 유전적인 원인으로
발병
한다. 이런 환자 5명 중 1명은 21번 염색체에 이상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정확히 어떤 유전자가 ALS를 유발하는지 밝히기 위해 ALS 환자와 일반인 1861명의 유전자를 비교했다. 그 결과 21번 ... ...
의협 “콜레라, 국내 집단 발생 위험 매우 낮아”
포커스뉴스
l
2016.08.29
있다. 개발도상국이 아니더라도 자연재해 후 상하수도 시스템이 마비되면 콜레라의 집단
발병
이 가능하며 실제 2010년 아이티에 20만 명이 사망할 정도의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음용수 오염 등으로 지진 후 1년간 아이티에서 50만 명의 콜레라 환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선진국에서도 콜레라가 ... ...
유방암 초음파 검사, 3배 더 빠르고 정확해졌다
2016.08.25
유방을 가진 여성은 유방암 발생 위험이 4~6배 높고, 특히 40대 이하 아시아계 여성에서
발병
률이 높다. 치밀형 유방 여성은 그동안 유방암에 걸렸을 때 진단 과정이 복잡했다. 유방암 검진에 많이 쓰는 X선 검진장치(맘모그래피)는 치밀형 유방에선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초음파 검사를 ... ...
줄기세포의 운명, 힘주면 달라진다
과학동아
l
2016.08.14
pixabay 제공 한 개체의 모든 세포는 동일한 유전자를 갖고 있지만 모양과 역할은 다르다. 이런 운명을 결정짓는 원인 중 하나가 줄기세포에 가 ... “에머린이라는 근육 단백질과 관련이 있다”며 “근위축증 등 에머린 이상으로
발병
하는 질병에 대해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까다로운 심근경색 진단…피 한 방울로 1분이면 '끝'
2016.07.29
맞서 싸우도록 하는 단백질인 ‘인터류킨’의 농도가 정상인보다 낮다. 이 점에 착안해
발병
이전의 알츠하이머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다. 동물 실험과 100여 명의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끝에 양전자단층촬영(PET) 같은 복잡한 검사 없이도 93% 정확도로 치매 환자를 구분해 냈다. ... ...
‘에이즈 1위’ 국가가 벌이는 ‘에이즈와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6.07.03
0 캠페인을 시작했고, 현재는 목표치를 거의 달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여전히 신규
발병
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파리드 압둘라 남아프리카국립에이즈위원회(SANAC) 회장은 “에이즈 바이러스는 앞으로 100년은 더 남아공에 존재할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신경세포의 ‘축삭’ 끝 부분에서 단백질 자체 생산”
2016.06.19
루게릭병 등 퇴행성 뇌질환이 어떻게 유도되는지 알 수 없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발병
원인을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보게 돼 새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권위지 ‘셀(Cell)’ 16일자 온라인판에 먼저 게재됐다. ... ...
‘미세먼지가 암 유발’ 숫자로 증명
과학동아
l
2016.06.15
쉽게 퍼지게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것이 심폐기관 암
발병
의 주요 원인”이라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암 역학, 생체지표와 예방’ 5월 1일자에 게재됐다 ... ...
도시에 사는 ○○, 수명이 짧아지는 이유는?
2016.05.29
참고로 인간에게 있어 텔로미어 마모는 DNA 복제의 손상과 암을 포함한 여러 질병의
발병
및 세포의 기능 손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Andy Reago & Chrissy McClarren(W) 제공 한편 실험은 이렇게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진은 미리 녹음한 교통소음을 부모 참새와 그들의 21마리의 새끼들에게 ... ...
KAIST서 350명이 스마트워치 차고 다니는 이유
2016.05.27
전염병 확산을 차단하는 효과 역시 기대된다. KAIST는 2014년 결핵 환자가 집단적으로
발병
한 사례도 있다.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정용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일부에선 자살 방지를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는 오해도 있지만 1차적 목표는 건강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는 것”이라며 “행동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