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뉴스
"
둘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려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③] 스트레스 받으면 음악을
2016.02.04
pixabay 제공 사람들은 말 못하는 반려동물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정확히 알기가 힘들다. 특히 고양이는 성격이 민감해 주변 환경에 변화가 생긴다면 주인들을 골치 아프게 하기도 한다. 새 이불 위에 소변을 보거나 책상 위의 물건을 일부러 떨어뜨리는 등 ‘못된’ 행동을 하는 것이다. 많은 이들 ... ...
팡! 물풍선이 터진다!
수학동아
l
2016.02.03
공이 부딪혔다가 튕겨 오르면서 벽돌을 부숩니다. 좌표에서 점이 선 위에 놓여 있다면
둘
이 충돌했다고 볼 수 있지요. 수학동아 제공 이것을 쉽게 보기 위해 수학에서는 ‘맨해튼 거리’를 이용합니다. 대각선을 생각하지 않고 가로 와 세로만 고려해 거리를 재는 방법이지요. 예를들어 2차원 ... ...
[반려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①] 달라도 너무 다른
둘
2016.02.02
요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가득 채우고 있는 가장 ‘핫’한 친구 고양이. 하지만 이
둘
은 사람과 가장 가까운 반려동물이라는 공통점 외에는 습성이나 생활 방식이 전혀 다르다. 고양이가 물을 마시기 직전의 모습. 혀를 살짝 구부린 것을 볼 수 있다. - 로만 스토커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 ...
지카 바이러스에 대해 궁금한 12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2.02
출혈이 있기 때문입니다. 뎅기열 역시 모기가 매개하는 전염병이기 때문에 일반인은
둘
을 구분할 수 없습니다. Q12. 또다른 주의 사항은 없나요? A. 바이러스에 일단 감염됐다면 또다시 다른 모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카 바이러스는 모기를 매개로 하기 때문에 모기에 의해 ... ...
[서울대 물리학과 편]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6.02.01
“졸업을 앞두고, 옆에 있는 지승훈 교수와 ‘고급물리 실험’을 들었습니다. 당시에
둘
이 실험을 하면서 기계를 많이도 망가뜨렸죠. 그래서 실험은 안 되겠단 생각에 이론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_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천체물리) “저도 그때 같이 이론을 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 ...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 18~20도, 왜?
2016.01.31
주는 어머니의 잔소리를 뒤로 하고서 말이다. 그런데 전문가들은 건강을 위해서라면
둘
모두 습관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겨울철 실내온도를 18~20도로 유지하는 것이 에너지 절약뿐 아니라 건강에도 좋다는 것.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1월 27일 공개한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 ...
[횡설수설/송평인]바둑, 인간 vs 컴퓨터
동아일보
l
2016.01.29
설욕의 기회를 갖지 못하고 2005년 은퇴했다. ▷바둑에서는 프로 기사가 컴퓨터와
둘
때 최소한 4점을 깔아주고 둔다. 조훈현 9단은 지난해 낸 책 ‘고수의 생각법’에서 “이 네 점은 프로 기사의 창의성과 기풍의 차이이기 때문에 컴퓨터가 흉내 낼 수 있을지 회의적”이라고 썼다. 그러나 27일 ... ...
프로 바둑기사 이긴 구글 인공지능 ‘알파고’ 승리 비결은?
2016.01.28
제공 ● ‘딥 러닝’으로 최적의 수를 찾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알파고는 매번 수를
둘
때마다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DNN)’과 ‘나무 탐색(tree search)’ 알고리즘을 활용해 자신이 더 많은 집을 차지하려면 어느 위치에 바둑알을 놓고 어떻게 움직여야 유리할지 평가해 최적의 착점을 ... ...
“저는 티라노사우루스 연구하는 재료공학자입니다”
2016.01.24
해부학적 연구를 통해 공룡이 조류와 관련이 깊다고 생각했다. 통계학적인 기법을 통해
둘
의 노화 패턴이 유사하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원 교수는 “공룡의 수명을 분석해 그린 생존율 곡선이 사람과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가 2006년 발표됐지만 이는 수학적 우연일 ... ...
‘알츠하이머 유전자’ 대물림 국내 가족 첫 추적 조사
2016.01.22
일반 알츠하이머 환자와는 다르다. 부모 중 한 사람이 이 유전자를 보유한 경우 자녀
둘
중 한 명꼴로 이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난다는 의미에서 ‘상염색체 우성 알츠하이머’로 불린다. 2008년 미국 워싱턴대는 ‘상염색체 우성 알츠하이머 네트워크’를 꾸려 6개국 14개 기관과 국제 프로젝트를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