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과정을 증명하는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있다. 또 넓게 초원화된 중앙고원의 샛빨간 라테라이트 표층에 있는 거치른 침식
흔적
은 화전농업 때문이었다고 풀이되고 있어 인류가 이 섬의 모습을 많이 변화시켰음을 설명해주는 부분이다.생물진화의 산 증인이라 할 수 있는 이 섬의 독특한 동식물을 오래도록 자손에게 전하는것은 우리 ... ...
제주도의 화산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세계에서 가장 긴 빌레못동굴을 비롯해 약 60여개의 화산동굴이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는 제주도는 한마디로 화산동굴의 보고이다.화산동굴의 보고(宝庫) 제주도 동굴이 ... 있는 화산동굴로 총연장 3백80m길이의 동굴이다. 동굴내부에는 작전기지로 사용되었던
흔적
이 남아 있는 동굴이다 ... ...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예외이지만 남쪽 섬 서던 알프스의 품속 깊이에 안겨 있는 호수들은 모두가 빙하가 남긴
흔적
이다. 위도상 온대이면서도 이 나라에는 큰 계곡빙하가 현존하고있다. 강수가 풍부한데다 여름에도 심하게 고온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계곡빙하는 골짜기벽이 U형으로 깎이고 말단에 퇴석제방이 쌓여 ... ...
20세기 최대의 발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모두 2백70개소의 도굴
흔적
이 나타났다. 곽실까지 미친것도 10개소 이상이며 심한 피해
흔적
이 있었다. 또 이곳을 직격한 지진 피해도 겹쳐 곽실을 짠 거대한 목재가 부러지고 내부의 관도 쪼개져 있었다. 그때문에 그 속에 있던 인골의 판정식별도 대단히 곤란했다. 이 묘의 주인공에 대해서는 ... ...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다룬 사람이 오사카대학 기초공학부의 '스카하라'이다. 그도 또한 기억의
흔적
을 뇌세포의 분자속에서 집요하게 탐구했다.그런데 인간의 구조는 왜 복잡한가? 플라나리아 등 생명이 짧은 생물은 기억을 보존하는 기간이 짧다. 그런데 인간의 수명은 1백년이나 되므로 기억도 그만큼 보존해야 된다. ... ...
기념관 건축 「졸속은 금물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신경을 썼다. 그러나 형태나 조형적인데만 신경을 썼지, 건축내부설비에는 등한히 한
흔적
이 역력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스타일은 전통건축양식을 따랐으나 각 부분은 철물, 플라스틱 등의 일반적인 건축재료를 사용하여 양식과 재료의 불일치를 안게되었다. 전통적양식에 합당한 현대적 재료 ... ...
석회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파고 들게 된다. 이에 반하여 놋찌란 동굴벽면을 옆으로만 아니라 수직으로도 침식한
흔적
이 있다.그리고 포트홀(欧穴)은 동굴바닥이나 동굴벽면, 동굴천정에 원형미를 이룬 오목한 작은 지형을 가리키는데 지하수가 소용돌이치면서 흘러내리는 곳에 발달한다. 즉 동굴류가 가득차서 흘러내릴 때 ... ...
문화재의과학 발굴·복원·연대측정의 방법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암석중에 포함된 칼륨(K) 40의 아르곤(Ar)양을 비교, 지층의 형성연대라든가 고대인류의
흔적
이 얼마나 오래됐나를 판단하는 '아르곤 포타시움 이용방법', 우라늄의 핵분열을 이용하여 암석의 연대를 결정하는 '피션 트랙의 이용방법', 토기(土器) 조각을 가열하면 축적된 방사선 에너지로부터 광선이 ... ...
기암의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직립에 가까운 85도로 세워진 것이다. 주위의 평탄한 땅에는 옛날 몇줄기 강이 흘렀던
흔적
이 있다. 침식에 비교적 강한 이 암석 부분이 대지에 새겨 남겨진 기념비 처럼 평탄한 땅에 우뚝 서 있게 된것이 신비스럽다.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이 밖에도 비슷한 지형을 여기 저기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 ...
바다의 탄생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대해 '소행성설'이라 부른다. 고체 표면을 가진 태양계 천체에는 지금도 격렬한 충돌의
흔적
인 크레이터를 무수하게 볼 수 있는데 이야말로 소행성설을 실증하는 것이다.이론적으로 추정되는 소행성의 크기는 10㎞ 정도다. 그러나 소행성은 그 형성후에 무수한 충돌을 되풀이하므로 크기의 분포는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