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행
선박 여행
d라이브러리
"
향해
"(으)로 총 1,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못 알고 있는 과학지식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사실과 현상에 대한 기대감과 신념을 갖게 된다. 아주 어렸을 때부터 이미 어떤 목표를
향해
공을 던질 줄 안다. 뿐만 아니라 나는 공의 위치를 예측하여 그곳으로 달려가 공을 잡을 수도 있게 된다. 우리는 또한 던져진 공이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고 얼마가지 않아 멈춘다는 것을 안다.이러한 ... ...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정도로 열심히 생활했다. 노력한만큼 얻어진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문득 목표를
향해
가기까지 길잡이 역할을 한 여고시절의 실천목표가 기억난다.“얘. 빨리 일어나라”하시는 어머니의 기상을 알리는 소리와 함께 나의 하루 일과는 시작된다. 처음으로 교실에 들어선 나는 교실 창문을 통해 ... ...
걸어다니는 로봇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장치된 시각감지기(카메라)가 눈앞의 물체를 자동으로 식별함으로써 목표 점을
향해
움직여 갈 수 있다. 덩치는 감당하기가 힘든 듯 걸음걸이는 매우 느리다. 키의 3분의 2가 넘는 70cm나 되는 긴 다리를 5cm 높이로 들어올려 나아가지만 보행속도는 분당 33cm에 불과하다.최근 과학기술원과 기계연구소 ... ...
청각현미경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1천배 높은 식별력을 가진 것이다.이렇게 높은 식별력을 갖는 원인은 대상을
향해
발사하는 음파의 파장이 짧기 때문이다. 대체로 일반 초음파현미경은 파장이 3백50만 cycle/분 인데 비해 청각현미경은 1억 cycle/분에 달한다.또 청각현미경은 광학현미경의 단점도 보완해 준다. 광학현미경으로 세포를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성스러운 순례지여서 신전 흔적과 추장들의 묘소가 있다.신전흔적은 반드시 바다를
향해
있다. 성역은 높이 2m정도로 돌을 쌓은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이 라이아티아섬 오포아촌에 복원된 타프타프아테아 신전이다. 성역 중앙에는 피라밋형의 제단이 있다.신화에서 ... ...
PART1 첨단 선박들에는 어떤 것이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큰 것은 3천~4천마력의 엔진을 탑재하여 석유시추선 등의 대형 구조물을 예인하는 대양
향해
예인선(Ocean Going Tug Boat)도 있다. 해상 작업용으로는 1천5백t 이상의 중량을 들어올릴 수 있는 특수 대형 기중기선, 항만의 준설을 연속적으로 해내는 고속준설선, 해난 사고로 인하여 다량으로 유출되는 ... ...
"힘은 과학과 정보이고 힘의 뿌리는 자유"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그는 "중국의 사회발전, 특히 사회적 사고의 변화를 위해서는 중국사회가 외부를
향해
개방되어야 한다" "오늘날의 사회에서 가장 생산적인 힘은 바로 과학적 지식과 정보이고 이런 힘은 대학의 민주화와 자유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88년5월4일 북경대학 창립 90주년 기념식에 교우로서 ... ...
통계의 함정 숫자놀음이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경우다. 1920년대 중국은 내전으로 전운이 감돌고 있었다. 이때 병사들을 이끌고 적진을
향해
진격하고자 한 한 장수가 눈 앞에 큰 강을 만나게 된다. 장수는 참모에게 강의 평균 수심이 얼마냐고 묻는다. 참모의 답변은 평균수심이 1m40cm라고 한다. 장수는 평균수심이 1m40cm이고 병사의 평균 키가 1m6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시반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시표, 즉 표(表)는 북극을
향해
있었을 것이다.이것은 한(漢)나라에서 원(元)나라에 이르는 사이 실존했던 중국의 전통적인 해시계와 아주 비슷하다. 아마도 그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을 것이다. 사료에 나타나는 고구려의 일자(日者), 백제의 일관 ... ...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배부분에 네모난 판자들이 얹혀 있었다. 2호뼈도 머리부분은 없어졌지만 하늘을
향해
곧게 바로 펴 묻은 점으로 보아 당시의 장례습속을 살펴볼 수 있다. 원시인의 지혜두루봉동굴유적들과 흥수아이를 통해 한반도에 살았던 구석기시대 인류의 생활상을 재구성해 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