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질병 가능성을 분석 의뢰했는데 결과가 ‘유의미하게’ 달랐다. 지금까지의 SNP 연구가 주로 유럽,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이뤄져온 것을 감안하면 아시아인, 특히 한국인의 SNP 분석 결과의 신뢰도는 더 낮다.“아직 정확하지 않다고 해서 의미가 없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강병규 제노플랜 대표는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없다.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도 손에 꼽는다. 연구윤리 실태 조사에 따르면 다른 일을 주로 하면서 연구윤리 업무를 부차적으로 하는 직원이 전체의 96.3%다. 조진호 팀장은 “집중력과 전문성의 문제를 봤을 때 전담자가 있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제보 바랍니다]구본경 박사는 “저자권은 ... ...
- 전통의 색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루고 있던 원재료의 재료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예를 들어 붉은색은 납과 철이 주로 검출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납을 주 성분으로 하는 연단(2PbO·PbO2)이나, 철이 주재료인 석간주(Fe2O3)가 안료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연단은 중국에서 2500년 전부터 썼던 기록이 있고 오늘날 페인트에도 쓰는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키큰 식물은 갈대가 아니라 무조건 억새입니다. 둘은 색깔도 완전히 다릅니다. 억새는 주로 은빛이나 흰색을 띠고 갈대는 고동색에 가깝지요. 키로도 구분할 수 있는데, 억새는 대부분 120cm 정도로 사람보다 작고 갈대는 2~3m 가량으로 껑충하게 자랍니다.티격태격 하는 사이 해가 길게 눕고, 백발의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우리가 태양을 바라보면 너무 밝아서 순간 아무 것도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예요.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에게 이런 밝은 불빛은 치명적이랍니다.반면 사람처럼 낮에 활동하는 동물은 상이 맺히는 망막 부위에 원추세포가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어요. 각 원추세포는 하나의 시신경에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남북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잰 값이 그 지점의 좌표값이다. 평면지도에서 위치는 주로 동서남북을 기준으로 나타낸다.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3차원 공간에서 세 번째 좌표를 빼놓을 순 없다. 바로 ‘높이’다. 높이는 육지에서는 해발고도, 바다에서는 수심이다. 특히 파도와 바람, ...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써야 할 때 마치 건전지처럼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물질인 ATP를 사용한다. ATP는 주로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만들어진다. 갈색지방이 활성화되면 UCP-1이라는 단백질을 만드는데, 이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에서 ATP 생성을 막는다. ATP를 생성하는 대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체온을 높여주는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반갑게 맞이해 주셨어요.자기 소개를 부탁드릴게요.예전에는 개미 연구를 많이 해서 주로 개미박사라고 불렸지요. 지금은 우리나라의 자연 생태를 잘 보전해서 여러분처럼 어린 학생들에게 온전히 물려 주기 위해 노력하는 생태학자라고 소개하고 싶습니다.연구를 하시면서 힘든 점은 없었나요 ...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최근 ‘수포자(수학 포기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9월 중 확정되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놓고 수학 학습량을 ... 박형주 교수도 “시험문제도 단순히 유형을 암기해서는 풀 수 없는 서술형 문제 위주로 내야 수학 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눈물은 맛있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줄리아 나비(Dryas iulia) 두 마리가 거북의 눈물을 마시고 있다. 거북은 통나무에서 햇볕을 쬐면서 기다려준다. 나비나 나방은 주로 꽃꿀이나 과즙을 먹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론 진흙이나 눈물, 피, 땀, 똥, 사체 등 다양한 액체에 주둥이를 들이댄다. 염분과 미네랄을 얻기 위해서다.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