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띄었다. 그리고 축구선수보다 더 열정 넘치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김병수 UNIST
자연
과학부 교수는 수요일마다 공을 차는 아마추어 축구선수다. 대학시절에는 득점왕을 차지했던 뛰어난 공격수였다. 공 하나로 소통하는 축구의 미덕을 닮아서일까. 그의 고분자 나노소재 연구실은 고분자팀과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코드를 짜면 이것이 0과 1이라는 기계어로 바뀌어 명령을 수행하게 되지요.그런데
자연
어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조금씩 달라요. 미국인이 영어를 쓰고, 우리나라 사람이 한국어를 쓰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들도 각자 자기에게 편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컴퓨터에게 말을 거는 거지요.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장의 연구를 발전시키는 것이다.이탕 장은 소수 가운데 차이가 n(1부터 7000만까지 가능한
자연
수)인 소수쌍이 무한히 많다는 것을 증명했다. 쌍둥이 소수 추측은 소수 사이의 간격이 2인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가설이다. 여기서 n이 2가 되면 쌍둥이 소수 추측이 해결된다.협력의 진가 발휘한 쌍둥이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30년간 풀지 못했던 난제에 대해 국내 과학자들이 새로운 해석을 내놨다. 박현거 UNIST
자연
과학부 교수와 윤건수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팀은 자기장에서 생겨난 난류가 ‘핵융합 플라즈마 경계면 불안정성 현상’을 억제하는 원리를 밝혀냈다고 9월 8일 밝혔다.태양에서는 핵융합이 ... ...
[Photo]
자연
이라는 화가가 남긴 푸른색 팔레트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화학적인 조성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불안정’에서 ‘안정’으로 이동하는
자연
의 법칙남동석과 공작석은 수산화탄산구리 광물이라는 거의 유사한 화학 조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대기에 노출된 상태에서는 공작석이 남동석보다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따라서 대기의 조건에 따라 남동석이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포괄 적합도를 증가시키는 여러 경로 중의 하나일 뿐이다. 그러므로 해밀턴이 찾아낸
자연
선택 과정을 혈연 선택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됐다.엇나간 두 거인, 메이나드 스미스와 해밀턴행여나 메이나드 스미스가 젊은 대학원생들의 성과를 무단으로 훔치는 욕심쟁이였다고 생각하지는 않길 바란다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입히고 싶은 생각은?”니샤는 손을 거두고 의자에 몸을 묻으며 화를 삭였다.“그래야
자연
스러운 건가요?”“그건… 우리가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이에요. 스스로 느끼고 결정해야겠죠. 점검 목록에 있긴 하지만 당신에게 암시를 너무 많이 줄 순 없어요. 그랬다간 모든 게 무의미해지니까.”윤환은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25만 명이 사망했다.지진을 예측하는 것은 현재로선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지만, 지진과
자연
현상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려는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일본의 난카이 해구 아래로 필리핀판이 들어가면서 서남일본열도에 크고 작은 지진을 일으키고 있다. 일본해양연구개발은 국제해저시추프로그램(IODP,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이동하는지 더 상세히 파악했고, 이 정보를
자연
보호 단체와 공유했다.실제로 미국의 ‘
자연
보호협회’는 이 데이터를 활용해 ‘버드리턴’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빅데이터로 예측한 새들의 이동 경로 중, 특히 가뭄이 심한 캘리포니아 지역에 새를 위한 물을 남겨놓도록 쌀농사를 짓는 농부들에게 ... ...
[과학뉴스] 5시간 동안 촬영한 페르세우스 유성우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쇼는 도심에서는 잘 관측되지 않았다. 심각한 빛 공해 때문이다. 국제천문연맹(IAU)은
자연
상태의 밤하늘보다 10% 이상 밝은 상태를 빛 공해로 규정하는데, 한국은 전체의 89%가 빛 공해 지역인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사이언스 어드밴시스’ 6월 10일자)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