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신"(으)로 총 9,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리듬 시그널] 공개 키 암호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올려놓은 공개 키를 가져와서 내 계좌번호를 암호로 만들어 전송하고, 상점 주인은 자신만 가진 개인 키를 사용해 이 암호를 다시 원래 숫자로 되돌려요. 그러면 거래가 있을 때마다 키를 분배할 필요도 없고 키를 누가 훔쳐볼까 봐 걱정할 필요도 없어요. 아무도 모르는 곳에 개인 키를 잘 보관하는 ... ...
- 서보현 대구과학고 입학관리부장 - “우수하면 다음 단계 생략하고 우선 선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장관상 등 다양한 대회에서 수상자를 배출했다. 서 부장은 “입학을 위한 공부보다는 자신의 역량 향상과 자아실현을 위해 공부하고 탐구하기를 추천한다”며 “그런 노력이 쌓이다 보면 대구과학고에 들어올 만큼 역량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일어나는 일은 대지의 아들에게도 일어난다. (중략) 사람이 땅을 파헤치는 것은 곧 그들 자신의 삶도 파헤치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안다. 대지는 인간에게 속한 것이 아니며, 인간이 오히려 대지에 속해 있다. 그것을 우리는 안다.” 이 글은 19세기 말 아메리카 땅을 팔라는 백인의 요구에 대해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해외의 우수한 기술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인 뒤, 이를 기존에 갖고 있던 기술과 융합해 자신만의 기술로 재창조했다”며 “우수한 것을 받아들여 더 우수하게 재창조하는 우리 민족의 정신은 과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변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혼천시계는 이를 보여줄 대표적인 과학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유로 현재 학계에서 가장 지지받는 가설은 바로 구애다. 새는 짝을 찾기 위해 종마다 자신만의 매력을 뽐낸다. 노래를 하거나, 춤을 추거나, 또는 화려하거나. 이 선임연구원은 “세 가지를 모두 잘 하는 새는 없다”며 “아마 노래나 춤에 뛰어나지 못한 새들이 구조색으로 만들어진 화려한 ...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기계학습과 컴퓨터단층촬영(CT), 초음파 영상 분석, 영상 복원과 해석 등의 분야에서 자신들이 할 수 있는 것들을 소개했다. 그러자 각 분야 의학과 교수들의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 수리연 수학자들은 매달 한 번 이상 충남대학교병원 의사들과 만나 다양한 문제를 풀고 있다 ... ...
- part 4. 도전! 마방진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어서 소개해주세요! 그날, 과연 최석정은 알았을까요? 300년이 훌쩍 넘은 2018년 자신이 남긴 마방진을 수학자들이 연구해 새로운 내용을 알아낼 거라는 사실을요. 오늘 여러분도 최석정처럼 마방진을 만들어 연구해 보는 건 어떨까요? 수학사저널 그날, 이것으로 방송을 마치겠습니다 ... ...
-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특별한 관계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우애수란, 어떤 정수 n의 진약수(약수들 중에서 자신을 제외한 것)의 합을 d(n)이라 정의할 때, d(a)=b이고, d(b)=a인 관계가 성립하는 서로 다른 두 정수 a와 b를 말한다. a와 b를 각각 우애수(또는 친화수)라 부르고, 둘을 ‘친화쌍’이라고 일컫는다. 예를 들어 220의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가장 먼저 열정을 가진 사람을 꼽았다. 김 학부장은 “부모 손에 이끌려오는 학생들보다 자신이 화학생물공학부에 오고 싶은 동기가 큰 학생들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서울대에 지원하려면 성적도 중요하지만, 지원하려는 학과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를 보여주는 게 더 필요하다는 것이다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책을 스스로 고르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물론 누군가에게 추천받아 읽는 책도 좋지만, 자신이 직접 고른 책만 하겠는가. 혼자서 하는 게 재미가 없다면 친구들과 함께해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자율동아리로 ‘일본 문학 읽기’동아리를 만든다고 해보자. 일본 로맨스 소설을 통해 일본의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