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d라이브러리
"
자기
"(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체험으로 보는 미래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만들어 화면에 올려놓자 곤충이 화면에 살아나서 움직입니다. 화면에 나타난 곤충은
자기
이름을 말합니다. 이렇게 라이브 체험관에서는 게임을 하면서 공부도 할 수 있습니다. 완성된 블록 위에 손을 올려놓을 때마다 센서가 작동해 곤충이 계속 나타났습니다.디지털파빌리온에는 방금 소개한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고르는 과정에서 고민이 많았다. 학부 때부터 친하게 지내던 박사과정 선배들은 한사코
자기
랩에 오지 말라며 손사래를 쳤다. 어떤 랩이 좋은지 정보를 얻기 힘들었다. 마침 관심 있는 주제를 연구하는 랩에서 인턴을 뽑아 지원했다. 인턴기간 동안 선배들은 좋은 이야기만 해줬다. 나중에 들어보니 ... ...
[친절한 우아씨의 똑똑한 데이트 11] 사랑은 도파민으로부터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오늘 데이트 어땠어?” 소녀는 알면서 되묻네요. “오랜만에
자기
가 예뻐 보이던 걸?
자기
는?”곧이어 소년의 긴 고백이 이어집니다. ‘우리가 요 근래 권태기였던 것 같다. 극복하려고 오늘 데이트 코스를 짜봤다. 어떤 연구를 보니 튼튼한 다리와 흔들 다리 위에서 각각 매력적인 여자를 ... ...
철새의
자기
장 내비게이션, 실험으로 증명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벗어났을 때에는 또다시
자기
장을 기준으로 비행 방향을 재조정했다”며 “주변의 지
자기
조건을 기준 삼아 비행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 연구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10월 5일자에 실렸다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분비해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유혈목이는 이런 두꺼비를 잡아먹어 두꺼비의 독을
자기
의 것처럼 사용한다. 독소라는 복잡한 화학물질을 만드는 데에는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소모된다. 유혈목이는 독을 만들 에너지와 시간을 아끼기 위해서 이런 식으로 ‘남의 독’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있는 광주과학기술원 광양자센터가 주목하는 것은 느린 빛과 소리의 결합이다. 전
자기
파와 반응하는 기존의 빠른 빛과 달리, 느린 빛은 음파에 특이적으로 반응한다. 초음파와 연동하면 영화 ‘엘리시움’의 마지막 장면에 등장했던 ‘빛진단치료’가 가능해진다. 현재 초음파 의술은 해상도와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관용을 잘 이해하면 새로운 약을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말라리아원충은
자기
복제를 위해 글라이코실포스페티딜이노시톨(GPI)을 내뿜어 숙주의 적혈구를 용해시킨다. 만약 GPI를 억제하는 백신을 만들면 말라리아로 인해 생기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말라리아원충을 직접 ... ...
따뜻한 피를 가진 빨간개복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정말 쉬워질 것 같은데….빨간개복치야~, 나를 좀 도와 주지 않을래?빨간개복치야,
자기
소개 좀 해 줘.난 빛나는 살구색 피부에, 몸길이가 2m 정도 돼요. 자동차 타이어만 한 몸집이죠. 하지만 덩치가 크다고 무서워하지 마세요. 난 이빨이 없거든요.저는 주로 하와이나 서아프리카 쪽에 살고 있기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말했어요.한편 전세계 과학자들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질량의 기준을 정의하기 위해 전
자기
력과 중력을 이용해 질량을 재는 와트 저울을 개발 중이랍니다. 이제 초파리인 내가 조금 달라 보인다고? 후훗! 친구들도 사소한 일상 속 과학을 찾는다면 언제든 사소 요정을 불러 줘~! 그럼 그때 다시 만나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지능을 알아낸다. 도구를 어느 수준으로 사용했는지, 동족끼리 어떻게 의사소통했는지,
자기
들만의 문화가 있었는지 등을 추측할 수 있다.버거 박사팀이 수학모형으로 복원한 두개골을 가지고 계산해낸 뇌용량은 465~560cm3이었다. 이것은 사람(1200~1600cm3)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다. 심지어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