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법칙"(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주장하면서 과속차량에게 벌금티켓을 발부하는 것이다. 그런데 빛은 이러한 속도합산법칙을 어기고 있는 것이다. 물리학에서는 이러한 절대정지점(the absolute rest)을 흔히 절대공간(absolute space), 절대좌표계 (the absolute reference frame) 또는 정지에테르(ether)라고 부른다.절대정지점을 정지에테르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과학동아 l1993년 09호
- 하여도 천문학을 확대시킨 은하에 대한 논의 수준이었다.시공간이 변화한다물리학의 법칙은 어떻게 운동하고 있는가에 관계없이 모든 관측자에게 똑같다. 모든 관측자가 동의하는 보편적 시간이라는 관념을 버린다면 관측자들이 서로 다른 조건에서도 같은 속도를 얻을 수 있다. 그 대신 개개인이 ...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자연계의 규칙성을 이해하고자 노력하거나 우주의 정신없는 복잡성 뒤에 숨겨진 법칙성을 찾으려는, 즉 혼돈 속에 있는 질서를 밝히고자 하는 타고난 충동의 힘을 가지고 있다. 가장 초기의 문명에서 조차 계절을 예측하기 위한 달력이 만들어졌으며, 일식이나 월식을 예언하기 위한 천문학적인 ... ...
- 물리- 전하량은 항상 보존된다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관계가 있다.전하량보존법칙이란 전하량이 어떤 경우라도 보존이 된다는 법칙으로 불을 켜기 전의 전하량과 후의 전하량이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물로 세수도 하고 빨래도 하며, 목마를 때 먹기도 하는데 그렇다고 세수나 빨래를 하기 전의 물양이 그 후에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엄밀하게 ... ...
- 3. 국내업체들, 잠재수요 겨냥해 독창적 서체 개발 경쟁과학동아 l1993년 08호
- 최대한 노력을 기울인다."글자는 조합할 때마다 나오는 결과물이 다르기 때문에 특별한 법칙을 세울 수가 없다"는 그는 한 글자 한 글자가 예쁘다고 해서 좋은 서체가 아니라 무수한 순열 조합 속에서 조화를 잘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문화가 성숙되기 위해서는 수단이 되는 서체가 고급화될 ... ...
- 화학- 모든 물질의 변화에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 적용된다과학동아 l1993년 08호
- 이 열에너지는 어디에서 온 것일까?여기서 우리는 모든 물질의 변화에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 적용된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반응 전에 비해 열에너지가 증가하고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에너지에는 열에너지 전기 에너지 빛에너지 역학적에너지 등이 ...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3년 07호
- 경우는 그리 극단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 법칙에서 예외는 아니다.글로거(Gloger)의 법칙 : 건조한냉한 지역에 사는 것은 고온다습한 지방의 것보다 체색(體色)이 옅다. 이것은 멜라닌색소의 많고 적음에 따른 영향이다. 시베리아호랑이의 밝은 황갈색과 인도지나호랑이의 어두운 적갈색을 비교해도 알 ...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과학동아 l1993년 07호
- 시작되면 25~30˚ 근처에 나타나게 된다.이 이동 법칙을 '시푀러의 법칙'이라 하며, 이 법칙을 도표로 나타낸 것을 '몬더의 나비형 그림'이라 한다(그림). 흑점은 남녀처럼 보통 한쌍을 이루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흑점이 태양의 북반구에 나타나면 반드시 적도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 ...
- 화학- 돌턴의 원자가설, 그 허와 실과학동아 l1993년 07호
- 그의 이러한 단순원리는 실험에 근거한 것이 아닌 가정에 의한 것이었다. 그러나 자연의 법칙은 돌턴의 가정과는 달랐다. 돌턴이 물의 화학식을 HO로 사용했기 때문에 산소의 원자량이 7, 혹은 8이었다. 만일 돌턴이 물을 ${H}_{2}$O로 올바로 알 수 있었다면 물의 화학식은 8이 아닌 16(=8×2)이었을 ...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수소암흑물질이 이렇게 서로 빼앗고 뺏길 수 있는 속성의 것이라면 일단 뉴턴의 만유인력법칙이 은하정도, 또는 그 이상의 스케일에서 틀릴 수 있다는 가정은 근거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뉴턴의 만유인력, 또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은하 정도의 스케일에서도 정확히 맞고, 단지 각개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