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를 자동차 사고에서 해방시키다 │ 서승우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어디까지 와 있는지 짚어 보기 위해 서울 관악구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에서 서 교수를 만났다. Q. 스누버1과 현재의 스누버(비공식 명칭은 스누버5)를 비교하면 얼마나 진화했나?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모두 획기적으로 발전했다. 스누버1은 차 지붕 위에 사람 머리 크기만 한 라이다(LiDAR ... ...
- 미래 모빌리티 도시 공간구조를 바꾸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인류의 기술문명을 돌아보면 모빌리티 기술은 도시환경 변화와 분명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자동차의 등장이 대표적이다. 자동차 기술의 상용화와 이어진 대중화는 도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08년 미국의 헨리 포드가 ‘자동차 가격은 노동자나 서민이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낮아야 한다’ ... ...
- [핫이슈] 축구 경기에 응원 효과? 있다 vs 없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상대 팀이 유리한 판정을 받은 거예요. 연구를 이끈 파비한 분데를리히 독일 쾰른체육대 교수는 “경기에서 유리하려면 관중을 통해 심판을 압박하는 게 맞지만, 이는 공정하지 않다”고 이야기했어요. 덧붙여 “팬들의 응원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홈경기가 유리한 이유는 팀에 친숙한 환경이기 ... ...
- [JOB터뷰] 프로파일러, 배우로 2막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본 제1회 한국범죄심리학회에 참가했다가 범죄심리학자로 유명한 경기대학교 이수정 교수를 만나며 운명이 바뀌었지요.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에 진학을 결심하곤, 석사 과정 중 공채에 지원해 형사과 과학수사계 소속 경찰 공무원인 프로파일러가 됐어요.그런데 지금은 범죄 수사 관련 미디어 ... ...
- [만렙!디지털 리터러시] 이 뉴스, 믿어? 말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살균할 수 있다’는 가짜뉴스가 퍼진 적 있어요. 과학적 근거가 없을 뿐더러, 한 대학교 교수의 이름을 사칭한 허위조작 정보였지요. 이처럼 정보가 과도하게 쏟아지면서 사람들이 무엇이 올바른 정보인지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현상을 ‘팬데믹’에 빗대어 ‘인포데믹(Infodemic)’이라고 해요. ... ...
- [수학뉴스] 어릴 때 공간추론능력이 수학 실력 결정한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만 3세 때 공간추론능력이 더 높았던 아이들을 따라잡지 못한 것이죠. 뫼링 교수는 “매우 어린 나이에 공간추론능력을 키울수록 수학 실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라며 “공간추론능력을 높이기 위해 ‘크게, 길게, 위, 아래’ 등의 공간 언어를 자주 사용하거나 블록 쌓기와 같은 입체 ... ...
- [특집] 새로운 세상 메타버스가 온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나온 메타버스가 갖춰야 할 조건은 있습니다. 이병호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플레이에 제약이 없는 높은 자유도가 보장된 ‘오픈 월드’, 아이템이나 월드를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기여도’, 제작된 상품을 판매하는 등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익 구조’, ... ...
- [매스미디어] 베이비에게서 벽이 느껴져! 바로 '완벽!' 보스베이비2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있는 문장이 만들어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곤 했다. 걸리버 여행기에서는 신비로운 교수가 학생들을 시켜 인쇄 기계에 문자를 무작위로 입력하도록 지시하고, 그 결과를 모아 과학 지식 목록을 작성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데 이번엔 코딩이다. 보스 베이비2에서는 닥터 암스트롱이 자신의 ... ...
- [IBS 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계속되고 있으며, 우리는 3권의 공동 저서와 논문 15여 편을 출판했다. 플로어 교수가 하다가 멈춘 연구를 이어받거나 다른 수학자와 함께 연구해 나의 연구 여정을 채운 것처럼, 내가 풀다 만 문제를 또 다른 수학자가 이어받아 그의 연구 여정을 채워나가고 있다. 수학자가 하는 모든 연구가 바로 ... ...
- 수소차의 심장, 수소연료전지 기술의 최전선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결과 최대 80℃에서 기존보다 2배 긴 400시간까지 작동하는 소재를 만들 수 있었다. 샨무감 교수는 “수소연료전지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면 수소연료전지 성능을 크게 개선하고 시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21/acssuschemeng.0c0784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