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d라이브러리
"
고도
"(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3 선진국은 상용화, 국내는 시범단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은 물론이고, 액정표시부에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사용통화요금을 표시하는
고도
의 부가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ISDN텔레라이팅 단말기는 전화통화를 하면서 상대방과 약도와 같은 그림이나 글씨로 구성된 필화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말기로서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내용을 서로 ... ...
카파토키야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괴레메 아바노스 위르귑 카이막르 젤베 등 크고 작은 도시와 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해발
고도
4백m에 불과하지만 만년설이 덮여 있는 에르지예스산과 하산산 사이에 있는 카파토키야는 '아름다운 말'(馬)이란 의미를 지난 곳이다.터키의 수도인 앙카라에서 동쪽으로 2백74㎞ 떨어져 있는 ...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으나, 통신위성 방식에 비해 빨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통신위성은
고도
3만6천㎞ 상공에 떠있어 신호를 전달하려면 전파가 7만2천㎞를 날아가야 하고 시간으로는 4분의 1초가 걸리게 된다. 그러나 해저케이블은 세계를 연결하는데 길어도 2만㎞를 넘지 않고, 대개는 수천 ㎞의 ... ...
고선명 텔레비전(HDTV)에는 필수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처럼 인기가 있는 것일까. 위성 TV의 전파 전달경로는 지상에서 송출된 전파를
고도
3만6천㎞ 상공에 떠있는 위성으로 받아 이를 다시 각 가정에 송출하는 것이다. 지상 TV의 중계탑 역할을 위성이 담당하는 것으로 난시청지역이 없는 것이 1차적인 특징. 지상 TV는 아무리 중계탑을 많이 세워도 ... ...
이성주 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선생님과 같이 하루만 야외에 나가 밤하늘을 훝어도 적경 적위가 무엇인지, 북극성의
고도
가 그 지방의 위도와 같은 원리는 무엇이며, 여름 은하수가 두꺼운 이유를 금방 깨달을 수 있음에도 학생들은 책상에 앉아 잘 이해되지 않는 그림과 수식에 골머리를 썩이고 있는 것이다.아마추어천문가이자 ... ...
유인탐사를 위한 전초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관측을 60분간 수행할 예정이다.율리시스(Ulysses) 우주선은 일명 국제태양극궤도 미션이라
고도
불리는 것으로 태양탐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 우주선에는 플라즈마계측기 자력계 등이 실려있다. 현재 목성을 향해 순조로운 비행을 계속하고 있는 이 우주선은 1992년 2월에는 목성 근처에 도달한 후 ... ...
지구궤도에는 원자력위성사용 금지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2kW)를 탑재했다. 이 원자로는 수개월간 활동 후 수명이 다해 약 9백50km의 폐기물처분
고도
에 자동적으로 올려졌다. 소련측의 설명에 따르면 수 백년 간은 원자로가 대기권에 재돌입할 위협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사고는 예상치 못한데서 일어났다. 1970년부터 1988년 사이에 소련은 31기의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고층'의 의미가 같을 수 없을 것이다. 고충이라 함은 그 시대 그 사회에서
고도
의 구조적인 기술이 요구되는 높이의 건축물이라 할 수 있겠다. 현재 국내에서 초고층 건물의 개념은 관점에 따라 각양각색이겠지만 대개 건물높이가 1백m 또는 30층 이상의 건물이라고 생각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것으로 학계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제5의 힘이 발견되고 중력의 양자화가 가능한
고도
의 수학이 발달되면 지금의 칼루자-클라인이론은 다시 그 용도가 폐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들이 제안한 고차원 물리학 자체는 어떤 형태로든 살아남을 것이다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따라 그 형태까지 변경시킬 수 있는 생물화한 건물이 될 것이다. 업다운공법과 로봇이용
고도
의 설계기술로 설계된 초고층 건물을 어떻게 건설할 것인가 하는 것이 시공기술의 문제다. 초고층 건물의 시공에는 두가지 큰문제점이 있다. 하나는 건설하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것이고 다른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