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12
모래시계처럼 붙여 놓은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두 개의 원뿔을 수직으로 자르면 위와
아래
에 두 개의 곡선이 생기는데, 이것이 바로 쌍곡선입니다. 평면 위에 두 점이 있을 때 두 점까지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을 쭉 이어도 쌍곡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쌍곡선의 두 곡선은 스스로 대칭일 뿐만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12
카가 1개인 싱글데크 방식이라면 더블데크 방식은 카 2개가 마치 2층 버스처럼 위
아래
로 붙어 함께 움직인다. 이 방식은 한 번에 두 개 층에 정지하기 때문에 승객들의 대기 시간을 줄일 뿐 아니라, 승객을 최대 2배까지 한 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더블데크 방식은 운송량이 많고 승객들의 목적층이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12
연구팀은 이 자극기로 실험참가자들의 손가락 끝에서 시작해 첫 번째 마디까지
아래
방향으로 자극을 반복해서 줬다. 그런 다음 특정한 방향성 없이 손가락에 자극을 줬다. 그랬더니 실험참가자들은 자극이 위로 올라가는 것처럼 느낀다고 보고했다.이런 촉각 일루전은 자극기 없이도 간단하게 ... ...
연꽃잎에 이슬 맺히지 않는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0912
쉽게 흔들리는 모습을 봤던 기억을 떠올렸다. 첸 교수팀은 물방울이 응축된 연꽃잎
아래
에 스피커를 설치해 연꽃잎을 초당 100번 진동(100Hz)시켰다. 그 뒤 고속카메라로 촬영하자 물방울이 연꽃잎에 닿자마자 튕겨 떨어져 나감을 알 수 있었다. 첸 교수는 “연꽃잎은 가늘고 긴 줄기 끝에 달려 있어 잎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12
단 1종이 서식한다. 멧돼지의 팔다리는 짧지만 몸이 굵고 길며, 주둥이는 긴 원통형이다.
아래
턱 송곳니가 무척 예리해 적을 만날 때 무기로 사용한다. 갈기털은 목부터 엉덩이까지 3~5갈래로 갈라져 무성하게 나 있는데, 적이 접근하면 갈기털을 세워서 적을 위협한다. 교미기는 보통 12월부터 이음해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2
철근 구조와 군데군데 설치된 둥근 거푸집들이 마치 조립식 건축물처럼 보였을 것이다.
아래
층부터 한 층씩 철근 구조를 쌓으면 곧바로 거푸집 속으로 콘크리트를 붓고, 굳으면 거푸집을 떼어냈다. 어두운 회색빛이 도시를 한층 더 우울하게 만들 것을 우려해 콘크리트에 백색안료를 섞어 밝게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12
가장 큰 장점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작은 부피 안에 담을 수 있다는 점이다.
아래
쪽엔 가로 방향으로 전극을 놓고 위쪽은 세로 방향으로 전극을 배열하면 바둑판처럼 교차점이 생기는데, 그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이 될 수 있다.만일 전극이 10nm 간격이라면 1cm2에 무려 1조 개의 교차점이 ... ...
살아 있는 MP3플레이어 ‘tting’
과학동아
l
200912
흔드는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악기 소리를 내는 비트박스 게임도 할 수 있다. 위
아래
로 흔들면 드럼을 치는 효과음이 나며 좌우로 흔들면 심벌즈를 치는 효과음이 나는 방식이다.tting은 MP3플레이어의 상태를 알려주는 다양한 효과음을 낸다. 예를 들어 전원을 켜면 ‘하이(hi)’라는 음성과 함께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12
수 있어 조바꿈을 하거나 반음을 내기도 쉽다.한갑수 씨는 “유현과 대현을 쥘 때 손을
아래
로 내릴수록 높은음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긴 줄의 중간을 쥐면 그만큼 줄이 짧아지는 효과가 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줄이 짧을수록 진동수가 높아져 높은음이 난다. 또한 중현은 유현보다 줄이 ... ...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 ‘공학’
과학동아
l
200912
기계공학과에서 방문 연구의 기회를 갖게 됐다. 프리츠 프린즈(Fritz Prinz) 교수의 지도
아래
에 당시 관심이 있던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과 기계공학 기술을 응용한 약물전달장치(DDS, Drug Delivery System) 연구를 수행했다. 설계와 생산에 대한 시야를 더욱 넓히고 의학, 생명공학에도 기계공학이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