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깔
색상
색채
색깔
컬러
칼라
색조
d라이브러리
"
색
"(으)로 총 2,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04
하지만 성운이나 은하의 경우는 빛이 워낙 흐리기 때문에 사진에서 볼 수 있는 멋진
색
깔을 눈으로 느끼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이러한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망원경에 여러가지 부속 장치를 부착해야 한다. 또 그러한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망원경도 어느 수준 이상이 되는 것이라야 한다. 모터가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02
아래에 있는 화살표를 마우스로 누르면 된다. 3. 그림 구성하기그림 그리기는 단순히
색
만 칠하는 것이 아니다. 어떤 그림을 그릴 것인지, 각 사물의 구성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생각해야 한다. 꼬마피카소에서는 밭 바닷가 사막 정글에 대한 다양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그림요소들을 제공한다.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01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알고 있던 마야인들은 세계를 네 방향으로 나누어 각 방향마다
색
을 표시해 구분하면서 천공에 13층, 지하에 9층의 세계가 있다고 생각해 천체의 운행을 여기에 맞추어 설명했다. 또한 천체의 위치를 길고 짧은 2개의 일력으로 표시하고 이를 신성문자로 표기했다.마야의 ... ...
4. 눈없이 보는 능력 초시
과학동아
l
199601
있다.생명장(生命場) 이론에 따르면, 생명체를 둘러싼 특정한 파장이 있어 이 파장대가
색
깔이나 모양이 갖는 고유의 파장대에 미세한 간섭을 일으키고, 이를 피부가 감각적으로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이 가설을 더욱 확산시켜보자. 어떤 사람이 장기간 갖고 있던 사물들에는 그 사람 고유의 ... ...
황소자리의 일곱 자매
과학동아
l
199512
6일부터 19일에 걸쳐 나타나며, 시간당 평균 80개에 이른다. 낙하속도가 빠른 편. 주로 노랑
색
을 띠는 한편, 출현 유성의 4%는 유성흔을 남긴다. 밝기는 평균 2.4등급.19일 목성의 합.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6.2AU, 밝기는 -1.8등급.22-24일 해가 진 뒤 서쪽 지평선 위를 보면 초승달과 금성이 밝게 빛난다. 그 ...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
과학동아
l
199512
만들어진 지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북위 80도 근방에 있는 올버스(Olbers)와 같이 초록
색
으로 나타난 몇몇 지형은 보다 복잡한 지질학적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커다란 운석에 의한 충격으로 표면물질이 녹아서 맨틀 상부의 마그마와 혼합됐을 것이다.가니메데에 ... ...
목소리로 건강 체크한다
과학동아
l
199512
음의 높이가 낮게 들리는 것. 1842년 오스트리아 물리학자 도플러가 별의 운동 방향과
색
의 변화를 연구하던 중 처음 발견한 효과다. 태아의 심장처럼 움직이는 대상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도플러효과를 고려해야 한다.공명기관 : 사람의 목소리는 성대 자체보다 공명기관에서 울려 귀에 들린다. ... ...
조선왕조실록
과학동아
l
199511
등 그림 3백50여장과 도표 40여장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이다.실록 CD롬이 가진 강력한 검
색
기능은 모든 자료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인접 학문은 물론, 역사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에게 끝없는 활용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문의전화 (02)5100-716·72 ... ...
3
색
채-인간은 1천만가지
색
을 인식
과학동아
l
199511
관련을 갖고 있는 산업뿐만 아니라 모든 제품의 총체적인 경쟁력 향상에서도 중요하다.
색
채가 예술가나 디자이너 만의 영역에서 벗어나 공학자 물리학자 화학자 분광학자들이 공동 참여하는 영역으로 발전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 ...
11월의 밤하늘 페르세우스자리의 보석들
과학동아
l
199511
수수께끼로 천문학자들이 한동안 골치를 앓은 적이 있다. 알골은 청백
색
주성과 노랑
색
동반별로 이뤄진 쌍성계다. 사흘에 한번 질량 중심을 공전하기 때문에 밝았다 어두워졌다 하는 변화가 빠르게 되풀이된다. 재미있는 사실은 두 별의 밝기 차이가 1등급이 넘는다는 것. 알골의 변광을 '메두사의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