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날두의 신무기 무회전 슛
과학동아
l
200806
공기의 흐름이 회전방향과 같은 쪽에서는 공기의 속력이 빨라져 압력이 감소하는 반면,
반대
쪽에서는 압력이 증가한다. 베르누이 정리에 따르면 공기가 ‘흐트러지지 않고 흐를 때’ 빨리 흐르는 쪽이 느린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압력이 낮은 쪽으로 힘이 작용해 축구공이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06
렌즈를 통해 볼 수 있는 범위가 넓기 때문에 화각이 넓어지고 원근감이 과장돼 보인다.
반대
로 초점거리가 길면 렌즈를 통해 볼 수 있는 화각이 좁아져 망원효과가 난다.사람의 눈과 화각이나 원근감이 가장 비슷한 렌즈의 초점거리는 약 50mm다. 그래서 50mm 초점거리 렌즈를 표준렌즈라고 한다.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06
지나 압축의 변형력-변형 관계는 곡선을 그리는데, 이처럼 어떤 변형력을 가한 뒤에는
반대
쪽으로의 변형력에 대한 탄성한계가 현저하게 저하하는 현상을 말한다α놋쇠 등 귀금속합금 재료에서 특히 뚜렷하다 1873~1948 독일 태생의 인류학자 뮌헨 등의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한 후 스트라스부르 대학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06
섬에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원숭이와 유인원 종은 전혀 볼 수 없다.
반대
로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여우원숭이 종이 거의 없다. 어떻게 두 종이 나뉘게 됐을까.화석 기록에 따르면 6000만 년 전 아프리카 전역에 여우원숭이가 살았다. 하지만 대륙에 원숭이가 출현할 즈음 섬이 대륙에서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06
나가는 커피 향을 맡으며 벌름거린다. 그러나 향을 맡는 것만으로는 결코 만족할 수 없다.
반대
로 감기로 코가 막혔을 때 커피를 마시면 쓴 액체일 뿐이다. 그렇다면 평소 커피를 마실 때 감미로운 커피 향과 쓴맛을 명확히 나눠 느낄까. 흥미롭게도 우리는 감기에 걸려 냄새를 잘 못 맡을 때 음식을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06
윤곽 게이지의 하나 반지름을 검사한다는 뜻에서 R게이지라고도 한다둥근 모양의
반대
모양으로 된 여러 가지 치수의 얇은 강철판을 한 벌로 하고, 이것을 부품에 대었을 때 빛이 통하지 않으면 합격으로 한다용질의 참 분자량과 삼투압의 크기 등으로 구한 분자량의 비 보통 i로 표시한다묽은 ... ...
AI와 싸우는 첫 번째 강력 백신
과학동아
l
200806
배치된 상태이며 이것을 (전기)쌍극자 또는 2중극이라고 한다전기4중극은 방향이
반대
인 전기2중극이 조금 어긋난 전하분포상태를 말한다 하전입자의 집속에 쓰이는 자기극 네 개를 가진 전자석 이 전자석은 중심축을 z축으로 하면 y-z면 내 및 x-z면 내의 운동에 대해 각기 집속렌즈 및 발산렌즈 또는 ... ...
홀라당~ 뒤바뀐 달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앞으로 삶은 달걀을 반으로 갈라 쑤욱~ 내민다. 그런데 노른자와 흰자의 위치가 서로
반대
다!“아니! 이럴 수가! 이런 희한한 달걀은 저도 처음 보는군요.“냐냐~ 냐냐냥? (그럼 저 닭이 이 달걀을 낳는 닭?)”“만약 이 달걀이 진짜라면 저 닭은 분명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특별한 닭이겠군요. ... ...
숭례문 무너진 자존심 금강소나무가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805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문화재로 지정된 묘역의 소나무라고 벌채를
반대
하기도 하지만, 고종 때의 역사적 사례를 되새겨보면 삼척 준경묘의 소나무를 숭례문 복원에 사용할 여지는 있는 셈이다. 문제는 준경묘의 아름다운 경관도 살리면서 숭례문 복원에 필요한 대형 목재도 적절하게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05
보여주었다. 통신위성인 이리듐은 약 1시간 30분 주기로 지구를 선회하는데, 태양의
반대
쪽에서 태양빛을 반사하는 각도가 제대로 맞았을 때 빛을 내므로 해가 진 직후가 아니면 잘 볼 수 없다고 한다.이 때문에 관측지역 상공으로 이리듐 위성이 지나가는 시간과 궤적을 확인해 해가 진 뒤 나타날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