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의대수
대수
뉴스
"
일의
"(으)로 총 51,649건 검색되었습니다.
'킬러세포'가 간암세포 죽이도록 만드는 치료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한국인의 간암 발병률은 높은 편이지만 5년 생존율은 평균 39% 정도로 낮고 아직 효과적인 간암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서울대는 이정원 약대 교수팀이 인체 면역세포인 자연살상세포(NK세포, Natural Killer Cell)가 간암 세포를 죽이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간암 치료제를 개발하 ... ...
탄핵 정국 속 대통령 직속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바이오위탁생산 2.5배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첨단바이오 연구 현장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탄핵 정국 속 출범이 연기됐던 범부처 바이오 분야의 컨트롤타워인 대통령 직속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출범했다. 정부는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중심으로 2032년까지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능력을 현재의 2.5배로 확대하고 2027년까지 바이 ... ...
"의대 정원 감원하면 대학 어려워져"…대다수 의대생 복귀 의사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20일 서울대 의대생 일부가 수업에 복귀했다. 복귀자 명단 유포 건에 대해선 경찰 수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제공. 의료계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감원을 주장하고 있지만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차기 회장은 감원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하는 의견을 표명했다. 서울대 ... ...
염증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견…암 신약 개발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왼쪽부터) 박현우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 박소연 박사(제1저자). 연세대 제공. 만성 염증성 질환과 암 치료의 돌파구가 될 새로운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인 대식세포 내에서 ‘TAZ’라는 단백질이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는 사실이 처음 규명됐다. 연세대는 박현우 ... ...
인공태양 핵융합 원료 중수소 골라내는 다공성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핵융합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의 원료인 중수소를 효율으로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신소재가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최원영‧오현철 교수팀이 수소와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를 분리해낼 수 있는 금속 유기 골격체(MOF)를 개발했다고 23일 ... ...
저압에서도 안전한 고체수소 저장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나태욱 생기원 기능성소재부품그룹 수석연구이 저압에서도 안전한 고체수소 저장 모듈을 제조하고 모듈 앞에서 설명하고 있다. 생기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저압에서도 안전한 고체수소 저장 시스템을 개발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은 박형기·나태욱 기능성소재부품그룹 수석연구 ... ...
사장됐던 '폐경 호르몬 치료' 다시 부활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폐경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난소 기능이 소실돼 월경이 영구적으로 중단되는 폐경은 현대의학에서도 '치료법 공백지대'다. 최근 학계에선 폐경 치료를 위한 움직임이 다시금 일고 있다. 일찍이 부작용 위험으로 사용되지 않은 호르몬 요법을 보완하고 난소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이 연구 ... ...
韓, 5G보다 10배 빠른 6G 무선연결 세계 최초 시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팀이 6G 200Gbps 무선 전송 시스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ETRI 제공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200Gbps(초당 기가비트)급 6세대(6G) 이동통신 무선 연결 시연에 성공했다. 초당 25GB(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해 현재 상용화된 5G의 이론상 최대 속도보다 10배 이상 빨랐다. ... ...
박테리아와 상호작용 활용해 유해 미세조류 독성 억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미세조류.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박테리아와 미세조류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유해 미세조류 독성 생성 원리를 규명했다. 수산양식, 수질 관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준 생물자원센터 연구책임자 연구팀이 미세조류와 박테리아의 상호작 ... ...
설연휴 따뜻하게 시작해 강추위로 끝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강추위가 이어져 전국 대부분 지역에 한파 특보가 발효된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한 시민이 방한용품을 착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설날 연휴 초인 26일은 온화한 날씨를 보이겠지만 27일 전국에 눈, 비가 내리면서 28일부터 강추위가 찾아오겠다. 28~29일에는 충청·전라권을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