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시간 왜곡’ 뇌에서 증거 찾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오른쪽 하두정소엽의 모서리위이랑(SMG·supramarginal gyrus) 활성도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
됐다. 활성도가 많이 감소한 피험자일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시간과 실제 시간 사이의 차이가 컸다. 뇌의 모서리위이랑의 활성도가 떨어지면 시간 왜곡 정도가 커진다는 뜻이다. 하야시 연구원은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착용하고, 브레이크와 등화장치(전조등, 방향지시등 등)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용어정리 * 정지거리주행자가 정지 상황을 인식했을 때부터 차량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나아간 거리. * 최소 회전반경차가 최소로 움직이는 범위에서 바퀴가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종의 숙주 동물을 조사해 도시화로 인해 사람과 숙주 동물의 접촉이 늘었다는 사실을
확인
하고 이는 인수공통 감염병의 출현 가능성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86-020-2562-8 끝으로 송 교수는 “홍역 바이러스는 백신을 한 번만 맞아도 감염을 93% 예방하지만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이처럼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우리나라 남해안에 서식하고, 알려진 것보다 이른 나이에 성성숙이 진행될 가능성을
확인
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이 팀장은 “해양동물을 부검한 자료가 오랜 기간 쌓이면 더 다양한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진행했던 실험 하나를 보자. 외국어를 쓸 때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는 걸
확인
하고자 두 가지 복권을 만들었다. 당첨이 되나 안되나 2유로(한화 약 2700원) 정도를 받는 복권 A와 당첨이 되면 4유로 정도를 당첨이 안 되면 0.1 유로를 받는 복권 B였다. 코스타 교수는 이를 스페인어가 모국어인 ... ...
[수학뉴스] 격자를 구부리는 수학적 마법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실제로 만든 구조물과 비교했죠. 그 결과 실제 모양과 계산된 모양이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
했습니다. 연구를 이끈 무시알스키 교수는 “이 방식으로 제작한 구조물은 저렴하며 운반이 쉽고 돔 구조뿐만 아니라 정교한 모양도 만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ACM 트랜젝션즈 온 ... ...
[한페이지 뉴스] 습도 조절해 기계적 에너지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결합할 때와 분해될 때 구조가 바뀌는 트리펩타이드 결정을 만들어 이런 가능성을
확인
했다.트리펩타이드 결정은 세 종류의 아미노산 결합체들이 수소결합 등으로 뭉쳐진 것을 일컫는다. 물 분자와 결합하거나 분해될 때 형태가 바뀌는 물질은 많다. 가령 신문지가 물에 젖거나, 젖은 신문지가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뇌를 분석한 결과 길을 찾는데 중요한 뇌 영역인 해마의 크기가 매우 크게 변했음을
확인
했다. 택시 기사들의 후위해마(posterior hippocampi)는 운전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수 밀리미터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시냅스의 1000배가 넘는 크기다.따라서 인간 뇌의 차이가 성별에 따라 타고난 것이라고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분석을 진행한 결과, 2단 엔진의 고체추진제를 3차 발사에서도 무리 없이 쓸 수 있음을
확인
했다. 그렇게 더디지만 한 걸음씩 3차 발사를 향해 나아갔다. 조광래 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 ... ...
지뢰찾기가 수학계 7대 난제라고?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수 있는 문제는 빠르게 푸는 방법이 있을테고, 다르다면 문제의 답이 맞는지 빠르게
확인
할 수는 있어도 답을 빠르게 푸는 방법은 없을 수도 있다는 의미가 되지. 이 문제는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에서 100만 달러(약 11억 6000만 원) 상금을 내건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야. 수학자들은 이 문제를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