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쳤다. 그럴수밖에 없는 게, 전자기파 망원경은 천구에서 매우 좁은 영역밖에 관측
하지
못한다. 시야가 넓어질수록 분해능이 떨어지는 태생적인 한계 때문이다. 저분해능 망원경으로 빛을 감지하고 고분해능 망원경을 목표 천체에 들이댈 때쯤이면 이미 사건은 끝물인 경우가 많다. 감마선 폭발을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시행하고 있다. 2012년 23건에 그쳤던 신고 건수는 2015년 195건으로8배 가량 증가했다.
하지
만 일반 대기업 중에는 삼성전자만이 버그바운티를 시행하고 있으며, 그마저도 스마트TV 한 분야에 국한돼 있는 상황이다. 크라우드 시큐리티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캐나다에서는 국제 제로데이 취약점 찾기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두개골 하나가 그렇게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진 않았을 거라 생각한다. 뼈는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사건 당시의 정황을 재구성하는 데 뼈만큼 강력한 증거는 없다. 다만 뼈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정확히 듣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할 뿐이다. 지금도 늦진 않았다. 그래서 오늘도 난 부러진 뼛조각을 ... ...
[Editor’s note] 미래 최고의 직업은 데이터과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인터넷을
하지
않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겁니다. 그만큼 일반적인 일이 되었지요. 저도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이리저리 돌아다니다 보면 깜짝 놀랄 때가 많습니다. 요즘에는 어디를 가든 광고를 보게 마련인데, 언제부턴가 저한테 딱 맞는 광고를 보여주는 거예요. 외국 사이트에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반기는 학자들이 많다.
하지
만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학자들은 아직까지 확실히 관측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을 아끼고 있다. 플래닛 나인이 정말 아홉 번째 행성이 맞을지, 또 그보다 먼 곳에 열 번째 행성이 있을지 궁금해진다. 5년 뒤를 기다려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 ...
[소프트웨어] 복불복 룰렛의 기댓값 구하기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많으면 많을수록 수학적 확률에 가까워지기 때문이에요. 이를 ‘큰 수의 법칙’이라고
하지
요. 이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서 원하는 수를 입력하면 그만큼 룰렛을 돌려주는 프로그램을 엔트리로 만들어봅시다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먹는 꿈? 아니면 따뜻한 햇살 아래서 일광욕을 즐기고 있는 꿈? 아직은 알 수 없다.
하지
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파충류의 뇌가 우리의 뇌와 생각 이상으로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더 나아가, 만약 도마뱀이 꿈을 꾼다면 오래 전에 살았던 파충류인 티라노사우루스나 스테고사우루스 같은 공룡 역시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기원’을 출간한 이래 가장 중요한 혁명을 이룩했다. 자연선택은 개체의 적합도를 최대화
하지
않는다. 자연선택은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한다.‘유전자의 눈’ 관점의 씨앗을 심다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는 개체가 무엇을 최대화하게끔 행동하게 만들까? 해밀턴이 찾은 정답은 포괄 적합도, 즉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윤정은 덩치 크고 시끄러운 세 남자들과 함께 툴툴거리며 남은 세월을 살아갈 것이다.
하지
만 은성에 대한 사랑은 그대로일 것이고 그 뒤로도 윤정의 일부로 남아 그녀의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이다. 그리고 그건 좋은 일이라고, 정말로 좋은 일이라고 윤정은 생각했다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수 있기 때문에 밀도는 1입니다. 대부분 파랑색 선과 빨간색 선 사이의 간격이 큽니다.
하지
만 8차원과 24차원에서는 두 그래프가 거의 만난 것처럼 보일 정도로 매우 가깝습니다. 실제로 2003년 논문에서 8차원일 때 최적의 밀도는 E8격자에서 구한 밀도의 1.000001배를 넘을 수 없다고 증명해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