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상위리그에 진출한 일본과 한국의 타자들 기록을 살펴보면서 두 나라의 스타일 차이는 확실히 알 수 있었다. 한 해설자가 방송에서 말해 화제가 됐던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닌 것이다. 피츠버그에서 강정호를 영입한 이유 역시 장타력 때문이었다. 올 시즌이 끝날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아인슈타인은 태양이 있을 때와 없을 때를 비교하면 1.6초(1초는 3600분의 1°)의 각만큼 차이가 나리라는 것까지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은 관측실험을 준비했다. 영국인 에딩턴으로서는 뉴턴에 대한 도전이 마뜩찮았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과학자였고, 실험과 관측만이 ... ...
- [Life & Tech] 혀를 중독시킨 붉은 마약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계속 매운맛이 전해져 온다. 김선아 교수는 “고추 속에 들어 있는 매운맛의 성분 차이 때문”라고 말한다. 고추의 매운맛 물질은 캡사이신이지만 그것 외에도 캡사이시노이드에 포함되는, 비슷한 매운맛 물질이 꽤 많이 들어 있다. 이런 물질이 얼마나, 어떤 종류로 들어 있는지에 따라 매운맛의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TARTAN RESCUE)’가 들고나온 로봇 ‘침프(CHIMP)’는 55분 15초가 걸렸다. 휴보와 10분 이상 차이가 벌어진 셈이다. 휴보는 대회 첫날인 5일, 8개 임무 중 한 개를 실패해 6위에 머물렀었다. 하지만 마지막 6일 시합에서 만점을 받으며 단숨에 1위로 점프해 역전 신화를 이뤘다. 첫날의 부진은 사소한 사고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그래야 반도체의 성능도 정확하게 맞추고 불량률도 낮출수 있어요. 수익률에서 큰 차이를 낳지요.”더구나 미래에는 전자 하나를 이용한 전자소자가 개발될 것이다. 양자컴퓨터나 양자정보통신 기술 말이다. 이른바 양자공학의 세계가 열린다. 두 연구원은 “이런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자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휴머노이드를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정도다. 인간과 동물과 기계의 지능은 분명 차이가 있지만, 지적 능력의 다양한 스펙트럼 위에 있다. 인간은 지능 창발의 기본이 되는 물리계인 두뇌에 대해서 아는 게 거의 없다현재로서는 두뇌를 모방할 만한 성능을 내는 컴퓨터도 없다백 번 양보해서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온난화로 수온이 약간만 올라도 강력한 엘니뇨 현상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한편 차이 연구원팀은 같은 방식으로 지구온난화가 발생할 때 라니냐 발생 수도 조사해 같은 학술지 올해 1월 2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구온난화가 계속된다면 강력한 라니냐 역시 지금보다 80% 가량 더 많이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시간을 곱하면 구더기가 성장에 사용한 열에너지가 나온다. 에너지 단위는 보통 1℃ 차이만큼의 열에 1시간을 곱한 ADH(Accumulated Degree Hours)를 쓴다.여기서 퀴즈. 시체에서 발견한 구더기를 살펴봤더니 3000ADH만큼 성장한 상태였다. 주변온도는 33℃였고, 이 구더기가 속한 파리 종은 기저온도가 3℃였다.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그대로 따라했는데, 맛도 모양도 새로운 무언가가 눈앞에 등장합니다. 순간의 선택이 차이를 만듭니다. 어느 재료를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작품이 나오기도 하고 정체불명의 무언가가 나오기도 합니다. 미식가가 선택한 오늘의 메뉴는 선택(!)입니다.인생은 선택의 연속입니다. 살다보면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다양한 미생물이 향미물질이나 생리활성물질을 만드는 전통 발효 간장에 비해 품질 차이는 날지 몰라도 식품으로서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중반, 산을 이용한 분해 공정 과정에서 건강에 영향을 끼칠지 모르는 부산물이 생긴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잠시 논란에 휩싸인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