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피부에 붙이는 패치형 해독제를 개발 중이다. 패치형은 몸안에서 아세틸콜린의 양이
일정
하게 유지되도록 적당하게 약물을 넣는다. 따라서 해독제를 먹은 뒤 아세틸콜린의 양이 갑자기 늘고 줄면서 생기는 부작용이 없다. 여러 약물을 합쳐 하나의 패치로 만들기 때문에 사용도 간편하다. 현재 ... ...
생물학의 대가, 에세이를 쓰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과학자로 진화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 만한 이가 또 있었을까. 굴드는 “진화는
일정
한 속도로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 갑작스럽게 계단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내용의 ‘단속평형설’을 주장해 다윈 이후 정체에 빠져 있던 진화론을 ‘진화론 버전2’로 탈바꿈시킨 세계적인 학자다. 하지만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그러나 이후 많은 경제학자들이 더 많은 나라의 소득분배 정도를 검토한 결과, α가
일정
하지는 않았다. 실제 소득 분배에 있어서 파레토 법칙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로렌츠 곡선과 지니계수소득의 불평등한 정도를 시각적으로 가장 잘 나타낸 것은 ‘로렌츠 곡선’이다. 또 이를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일정
한 주기가 없지만 인공 전파는
일정
한 주기와 파형이 있다. 특히 소수의 나열 같은
일정
한 수학적 패턴을 이룰 가능성이 크다. 이를 이용해 자연 전파와 외계인이 보내는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그 동안 많은 프로젝트가 있었지만 지금까지는 이렇다할 성과는 없다. 간혹 몇몇 독특한 신호가 잡힌 ... ...
숀리외 함께하는 사이언스 헬스 킹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힘 센서(load cell)’가 들어 있어요. 힘 센서는 힘의 세기에 따라서 전기 저항이
일정
하게 변하기 때문에, 그 변화량을 이용해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답니다. 숀리와 함께 하는 체력 단련!오~! 역시 16차원 과학자 섭섭박사님은 모르는 게 없으시군! 그런데 저 무지갯빛 머리 색 어디서 본 것 ... ...
디지털 시대의 눈 건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근시에 걸릴 가능성이 2%나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어.비법2 책은 적당한 밝기에서 눈과
일정
거리를 두자!실내에서는 적당한 밝기에서 활동해야 해. 또 책은 눕거나 엎드리지 말고 바른 자세로 읽어야 하지. 책과 30~40cm 떨어지는 건 필수야. 그림자가 생기거나 어둡다면 책상에 간접 조명장치를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하나의 비율로 그려집니다. 여기서 잠깐! 오늘의 정답은 원 둘레를 지름으로 나눈
일정
한 비율, ‘원주율’입니다!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나일 강의 홍수 덕분에 기하학 공부를 열심히 해야 했어요. 홍수로 인해 각자 소유한 땅의 경계선이 자주 없어졌거든요. 그래서 이집트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원전이 풍력이나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에 비해 장점으로 내세우는 “기저전력화(언제나
일정
한 전기를 생산함)에 유리하다”는 장점은 바로 이런 바탕에서 가능했다.하지만 대형 원전은 한계가 많다. 우선 작은 나라나 도시에 활용하기에는 부담이 많다. 입지도 자유롭지 않다. 오늘날 많이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특정 단백질(폴리펩타이드)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NA 상의
일정
부위라고 볼 수 있다. 중심 원리(central dogma)에 따라 유전자, 즉 DNA에 저장된 정보는 먼저 전사 과정을 통해 mRNA로 전달된다. mRNA로 전달된 정보는 번역 과정을 통해 단백질 합성에 사용된다. 이렇게 유전자에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얼마나 오랫동안 힘을 주느냐’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연구팀은 피스톤으로
일정
한 힘을 가했을 때 마일라가 구겨지면서 원통의 어느 높이까지 쭈그러들지 금방 확인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데 원통의 높이는 조금씩이긴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낮아졌다. 3주가 지나도 멈추지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