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지음 | 이현경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316쪽 | 1만 3800원로또를 할 때 1, 2, 3, 4, 5처럼 연속된 숫자를 고르지 않는 이유는 뭘까. 눈앞에서 기차를 놓치면 왜 더 억울하게 느껴질까. 인지심리학자인 저자는 인간의 일상을 지배하는 다양한 심리를 실험을 통해 설명한다. 구분짓기에서 군중심리, 자아도취, ... ...
- 3. 교통안전 지킴이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옆에 녹색 불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잔여시간표시장치를 함께 다는 곳이 늘고 있다. 숫자나 8개 이상의 역삼각형 도형을 세로로 배열해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편도 3차로 이상인 도로 중에 사람이 많이 다니고 사고가 잦은 횡단보도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시각장애인에게 소리로 신호를 ... ...
-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수학동아 l2009년 10호
- 화소 1개가 표현하는 지상의 면적이다. 보통 1m급, 5m급, 30m급 등으로 표현하는데, 숫자가 작을수록 더 작은 지상물체를 판독할 수 있다. 1m급은 화소 1개가 1m²를 나타낸다. 이론상, 지상 물체의 크기가 가로 세로 1m 이상이면 어떤 물체인지 알아낼 수 있다.인공위성 종류우리나라 인공위성은 목적에 ...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수학동아 l2009년 10호
- 가 생겨났다. 서로 다른 n개의 방법으로 두 양수의 세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숫자 중에서 가장 작은 정수를 'n차 택시수'라고 부르며 'Taxicab(n)'이라는 기호로 나타낸다. 1729는 1³ +12³과 9³+10³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수이므로 2차 택시수다.수와 행복하게 지낼 수 있을까?어떤 수의 각 ... ...
- 파란만장 독립투사 되기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안에는 홀수를, 원 안에는 짝수를 써 이 계산을 완성하는 거다.사각형과 원 안에 들어갈 숫자는 같을 수도 다를 수 도 있어.”“에헴, 날라리라니? 이 가짜 금마니가 감히…. 도형아 가자! 진짜 금마나를 찾아야지.”허풍은 큰소리쳤지만 막상 혼자 가지는 못하고 도형의 눈치만 살살 본다. 도형은 ... ...
- 걸리버 여행기수학동아 l2009년 10호
- 대목에 주의해 주기를 바란다. 나중에 한 친구에게 어떻게 그렇게 해서 그처럼 분명한 숫자에 도달할 수 있었는가를 물었다. 정신을 차린 걸리버는 키가 12~13cm밖에 되지 않는 작은 사람들에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그 곳은 작은 인간들이 사는 소인국 릴리퍼트였던 것이죠. 몇 차례 ...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이제 다시 3차원 공간으로 돌아가서 케플러의 주장처럼 과일 쌓기를 하면이 나온다. 이 숫자들을 ‘각 채우기 방식의 밀도’라고 부른다. 케플러 방식은 대포알 같은 공이 전체 공간의 74%를 채운다. 여기서 따져봐야 할 것이 하나 더 있다. 지금까지 본 사례는 모두 규칙적으로 채운방식이지만, ... ...
- 패턴의 과학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숫자의 발견으로 인류는 논리적 사고를 향한 첫 번째 도약을 시작했다. 수를 다루게 되하면서 인류는 자연과 사회의 복잡한 패턴을 수학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고대 인류는 자연에서 발견한 패턴에서 감탄과 경이로움을 느꼈기 때문에 이는 신의 섭리라고 생각했다. 이는 신의 섭리라고 ... ...
- Part 1. χ가 없던 시절에는수학동아 l2009년 09호
- 닭의 다리는 2개고 토끼의 다리는 4개일 때, 닭과 토끼는 각각 몇 마리인지 계산하여라."숫자도 한자이고 기호도 없으니 문제를 이해하는 것조차 어렵군. 그래도 풀 수 없는 문제는 아닌 것 같네. 학교에서 배웠던 '예상과 확인'방법으로 풀어 보기로 해. 닭과 토끼가 몇 마리씩일지 예상해서 다리의 ...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수학동아 l2009년 09호
- 미치지 못한 것이다. 마야인이나 바빌로니아인이 먼저 0이란 개념을 생각해 냈더라도 숫자로서 0을 쓴 것은 바로 인도인이다. 인도인들은 이로부터 새로운 계산법을 발명하기도 했다. 그런 의미에서 0을 발견한 영예는 인도인에게 돌아갔다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