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업
공업
생산업
실업
부지런
근면
기업
d라이브러리
"
산업
"(으)로 총 4,066건 검색되었습니다.
샤랄라~, 요정이 춤을 춘 흔적이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꺄아악~! 살려 주세요!”냥냥과 함께 뒷산에 밤을 주우러 온 닥터고글의 귓가에 비명 소리가 들린다. 닥터고글이 허겁지겁 풀숲을 헤치며 비명이 난 곳을 찾아가니, 온몸을 풀로 꾸민 한 남자와 그 앞에서 바들바들 떨고 있는 한 여자가 보이는데….사건 의뢰 - 요정을 찾는 남자?비명을 지른 여자 ... ...
멜라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10월 x일 한밤중. 텅 빈‘어린이과학동아’편집부에 Y기자가 혼자 머리를 쥐어 뜯고 있었어요.‘올백사이언스’에 낼 좋은 문제가 떠오르지 않아서였지요. 창문에 부딪치는 바람 소리에 무서워진 Y기자가‘이제 그만 갈까’하고 생각하던 순간 머리에 번쩍 떠오른 생각!“그래! 명예기자들에게 문 ... ...
밀가루가 폭탄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아아아악! 내 떡! 사랑스러운 내 떡들!”앙증맞은 토끼 모자를 쓴 남자의 절규가 시끌벅적한 시장통을 일순간에 잠재운다. 남자는 무슨 일인가 싶어 모여든 사람들을 유심히 보더니 옥도끼 모양의 모자를 쓴 한 남자를 지목하며 울부짖는다.“백설귀 이 녀석! 네가 이럴 수 있는 거냐?!” 사건의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만들어 내는 것이 비결이라면 그 물질을 이용해 우리에게 유용한 물건을 만들거나
산업
에 응용할 수 있거든. 아무리 추워도 괜찮아아무리 차가운 곳이라도 미생물이 존재한다. 심지어 영하 196℃까지 견디는 미생물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극지의 차가운 바다에서 사는 미생물은 우리 생활에 ... ...
오리고 붙이고~, 나만의 책 나와라! 뚝딱~!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유럽에서는 공방에서 여러 사람이 각각의 분야를 맡아 책을 만들었어.그러던 중 18세기
산업
화가 널리 이뤄지면서 각 과정을 담당하는 장인을 대신해 기계가 등장하기 시작했어. 아무래도 손으로 만들다가 기계로 만들면 적은 시간에 더 많은 책을 만들 수 있었겠지? 그래서 이 때부터 책은 더 많은 ... ...
월•E 가 밝히는 지구의 미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5호
그 뒤로 점차 로봇은 과학자들에 의해 개발되기 시작했고, 인간을 대신해 일할 수 있는
산업
용 로봇이 만들어지게 됐다. 지구를 열심히 청소하는 영화 속 월-E도 사람 대신 힘든 일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로봇이다.실제로 우리 주변에서도 월-E와 같은 로봇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목숨의 위협을 받는 ... ...
얍~! 특수 분장으로 체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가지 분장기법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건 약 100년 전이지. 우리나라에서는 1953년 이후 영화
산업
이 발달하면서 분장 기술이 발달했어. 1960년대에 흑백TV, 1980년 이후 컬러TV가 보급되면서 섬세하고 정교한 분장 기술이 나왔고, 1990년대부터 특수 분장 기술이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단다.분장과 특수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모바일 게임을해외에 수출해 주목을 받았다. 우송대 누리사업단인 첨단영상게임
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단은 대덕게임개발업체인 한얼엠에스티와 함께 개발한‘별따줘 팡팡’을 2006년 중국에 수출했다. 뜨는 학과를 잡으면 지방의 한계를 넘어 해외로 비상(飛上)할 수 있는 셈이다.TEU*컨테이너를 ... ...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오래전에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게 과학적으로 증명됐다. 영구기관은 현행 특허법에 ‘
산업
상 이용할 수 없는 발명’이나 ‘완성될 수 없는 발명’으로 분류돼 있다. 그럼에도 관련 특허 출원이 계속 늘고 있는 이유는 발명가들이 영구기관을 만들 수 있다는 꿈을 버리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연구자는 턱없이 부족한 편”이라며 “이공계 학생이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면서 BT
산업
에 필요한 기초의학 연구자나 의과학자를 양성할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숭실대 생명정보학과 임동빈 교수도 “우수한 성적의 학생이 빠져나간다고 해서 이공계에 위기가 오거나 학문이 고사한다는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