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첨단기술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그라운드의 중앙
부위
를 가장자리보다 약간 높게 설계해 물이 자연스럽게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도록 했다. 하지만 물이 흐르면 공도 구른다. 불편할 뿐더러 가끔 공이 저절로 굴러가는 우스꽝스런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 ... ...
영생의 꿈 실현하는 현대판 미라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공개하는 자리였다. 총 2백여 장기와 20여구의 인체, 그리고 3-5mm 두께로 인체의 특정
부위
를 횡단면으로 자른 투명하고 얇은 ‘포육’이 전시됐다.플래스티네이션은 1978년 독일 하이델베르그 의과대학 해부학 교수인 군터 폰 하겐스 박사에 의해 처음 고안됐다. 그는 해부학 강의를 진행하며 ... ...
NT - 나노 세계에서 펼쳐지는 물질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역할을 수행할 나노로봇을 통해 실현될 것이다.나노로봇은 우리가 필요한 약물을 상처
부위
로 가져가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나노로봇은 나노 크기의 고분자 또는 자성 나노 입자로 몸통이 만들어져 있다. 또 치료약이나 특정 징후가 있는 암세포에 결합할 수 있는 팔을 갖기 때문에 인체에 투여된 후 ... ...
세균 감염으로 사망한 무균처리 선구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전체를 소독하는 방법, 수술 기구와 장비를 소독하는 방법, 세균이 감염될 수 있는
부위
를 소독하는 방법 등을 계속 연구했다. 결국 그의 무균처리법은 더욱 좋은 결과를 가져왔고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의사들이 받아들이는 진리가 됐다.자기 주장 관철하려다 정신병동으로헝가리 출신의 ... ...
겨울철에 달리면 살빼는 효과 배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좋다. 춥다고 지나치게 두터운 옷을 입을 경우 오히려 방해가 된다.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
의 옷은 땀 흡수가 잘 되는 면 T셔츠 종류가 좋으며, 바깥 부분의 옷은 체온을 유지할 수 있고 바람을 막을 수 있는 땀복(파카)이나 윈드브레이커(wind-breaker) 점퍼를 입는 것이 좋다. 그리고 머리, 얼굴, 손 등은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크기 때문에 혈연 관계를 알 수 있다. 품종 간 또는 개체 간에 다형을 보이는 초위성체
부위
를 여러개 선정해 활용하면 품종 간 혈연 비교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필자는 9종의 초위성체를 이용해 아시아 지역 토착개 11품종 2백11마리를 대상으로 연구해 이들 간의 유전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그 결과 11명 중에 6명은 BCR-ABL에 관계된 유전자의 변이로 글리벡이 결합하는 BCR-ABL
부위
가 변형됐다. 즉 글리벡이 BCR-ABL의 역할을 방해할 수 없게돼 비정상적인 세포증식이 일어나 백혈병이 재발한 것이다. 다른 3명은 보통 한개만 만들어지는 BCR-ABL 유전자가 몇개 더 생성되면서 글리벡이 막아낼 수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협동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이런 관심은 뇌가 인간의 신체기관 중 가장 알려지지 않은
부위
라는 사실도 있겠지만, 현대 사회에서 인간 정신 활동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 원인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과학과 기술 문명은 분명 고도의 두뇌를 요구하며 과거에 중요시되던 육체적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고통스러워 병원을 찾았다. 약물 치료가 효과가 없었기 때문에 양측 측두엽의 전측
부위
를 제거하는 신경외과 수술을 받으러 온 것이다. 수술은 성공적이어서 H.M.의 간질 발작은 이내 멎었지만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H.M.은 자신의 방을 찾아가지 못하고 자신을 방금 전까지 진료한 ... ...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기존의 혈관에 연결시킨다. 암조직에서 떨어져 나온 암세포는 이 혈관을 타고 체내의 각
부위
로 이동한다. 원하는 조직에 도착한 암세포는 혈관내피세포의 바깥막(ECM)을 뚫고 나가 그곳에서 다시 성장한다.암 전이 과정을 억제하려는 세계적인 추세는 이 과정 중 어느 한단계를 차단하는 약제를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