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상부상조하는 지혜의 동물 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가까이 있는 다른 말의 동일한
부위
를 입으로 가볍게 물어서 상대 말로 하여금 자신의
부위
를 물어주도록 한다. 파리나 모기 등 곤충이 나타나 괴롭힐 때면 서로 몸을 밀착시켜 함께 곤충을 몰아낸다. 풀을 뜯어먹을 때도 동료를 위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말은 입술을 말아 올려 공기를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좋은 코어는 가벼우면서도 탄력이 좋고 오래 유지돼야 한다.보드에서 또 한가지 중요한
부위
는 가장자리에 둘려있는 ‘엣지’(edge)다. 엣지는 눈과 직접 대면하는 부분으로 보드를 보호하는 기능뿐 아니라 눈과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밖에도 최근에 출시되는 보드 중에는 ... ...
영생의 꿈 실현하는 현대판 미라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공개하는 자리였다. 총 2백여 장기와 20여구의 인체, 그리고 3-5mm 두께로 인체의 특정
부위
를 횡단면으로 자른 투명하고 얇은 ‘포육’이 전시됐다.플래스티네이션은 1978년 독일 하이델베르그 의과대학 해부학 교수인 군터 폰 하겐스 박사에 의해 처음 고안됐다. 그는 해부학 강의를 진행하며 ... ...
세균 감염으로 사망한 무균처리 선구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전체를 소독하는 방법, 수술 기구와 장비를 소독하는 방법, 세균이 감염될 수 있는
부위
를 소독하는 방법 등을 계속 연구했다. 결국 그의 무균처리법은 더욱 좋은 결과를 가져왔고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의사들이 받아들이는 진리가 됐다.자기 주장 관철하려다 정신병동으로헝가리 출신의 ... ...
겨울철에 달리면 살빼는 효과 배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좋다. 춥다고 지나치게 두터운 옷을 입을 경우 오히려 방해가 된다.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
의 옷은 땀 흡수가 잘 되는 면 T셔츠 종류가 좋으며, 바깥 부분의 옷은 체온을 유지할 수 있고 바람을 막을 수 있는 땀복(파카)이나 윈드브레이커(wind-breaker) 점퍼를 입는 것이 좋다. 그리고 머리, 얼굴, 손 등은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크기 때문에 혈연 관계를 알 수 있다. 품종 간 또는 개체 간에 다형을 보이는 초위성체
부위
를 여러개 선정해 활용하면 품종 간 혈연 비교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필자는 9종의 초위성체를 이용해 아시아 지역 토착개 11품종 2백11마리를 대상으로 연구해 이들 간의 유전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그 결과 11명 중에 6명은 BCR-ABL에 관계된 유전자의 변이로 글리벡이 결합하는 BCR-ABL
부위
가 변형됐다. 즉 글리벡이 BCR-ABL의 역할을 방해할 수 없게돼 비정상적인 세포증식이 일어나 백혈병이 재발한 것이다. 다른 3명은 보통 한개만 만들어지는 BCR-ABL 유전자가 몇개 더 생성되면서 글리벡이 막아낼 수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이를 통해 치료유전자의 개발이 진척되고, 이렇게 발견된 치료유전자를 환자의 필요한
부위
에 주입해 적절히 발현시키는 벡터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DNA 자체가 암과 같은 난치병을 치료하는 중요한 치료제로 사용될 날이 올 것이다.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을 받지 않는 이유우리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고통스러워 병원을 찾았다. 약물 치료가 효과가 없었기 때문에 양측 측두엽의 전측
부위
를 제거하는 신경외과 수술을 받으러 온 것이다. 수술은 성공적이어서 H.M.의 간질 발작은 이내 멎었지만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H.M.은 자신의 방을 찾아가지 못하고 자신을 방금 전까지 진료한 ... ...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기존의 혈관에 연결시킨다. 암조직에서 떨어져 나온 암세포는 이 혈관을 타고 체내의 각
부위
로 이동한다. 원하는 조직에 도착한 암세포는 혈관내피세포의 바깥막(ECM)을 뚫고 나가 그곳에서 다시 성장한다.암 전이 과정을 억제하려는 세계적인 추세는 이 과정 중 어느 한단계를 차단하는 약제를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