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커다란 소행성 사이를 비집고 곡예 비행을 하는 우주선의 모습은 과장된 것이다. 화성
바깥
으로 탐사를 떠난 보이저나 갈릴레오 우주선은 모두 별 탈 없이 소행성대를 지날 수 있었다.소행성대를 벗어나 아주 먼 궤도를 돌거나 지구의 공전궤도와 가까운 곳을 지나는 소행성도 있다. 1977년에 발견된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손바닥으로 차가운 병을 잡으면 병 속 공기의 부피는 팽창한다. 팽창한 공기는 병의
바깥
으로 빠져나가려고하기 때문에 병의 입구를 막고 있던 동전이 살짝 들렸다가 다시 떨어지면서 딸깍거리는 소리가 난다.가능하면 손은 따뜻한 것이 좋다. 따라서 뜨거운 물에 씻거나 비벼서 따뜻하게 해주면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밝히는데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10억광년으로 우리은하
바깥
에서 일어난 일이다.실험 - 별들의 수명 알아맞히기■ 기초지식미국의 천문학자로 러셀과 헤르츠스프룽은 별의 스펙트럼 형태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밝혀낸 것으로 유명하다. 이들의 연구결과를 도표화한 ... ...
더위야 물럿거라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흡수하기 때문이다. 이 때 주전자의 입구 부분에 다른 그릇을 가까이 대어 보면 그릇
바깥
쪽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열을 흡수해 수증기가 됐던 물이 다시 열을 방출해 물이 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물리적인 변화 뿐 아니라 화학적인 변화에서도 반응물질과 생성물질들 ... ...
우리나라 천문학자들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觀象監) 학자들이 초신성을 발견한 이래 거의 4백년만의 쾌거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은하
바깥
에서는 초신성이 1년에 약 1백여개씩 발견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학자들에 의해 발견되고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탐사팀은 지난해부터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1.8m의 반사망원경을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더 그린다. 맨 윗줄 중앙 칸을 1로부터 시작해 대각선으로 순서대로 숫자를 써 나간다.
바깥
쪽 칸에 쓰여지는 숫자는 다시 반대편 칸에 이동해 채우고 이어서 대각선으로 계속 숫자를 써 나간다. 대각선이 이미 차 있으면 아래로 한 칸 내려쓰고 계속한다. 이 방법으로 모든 홀수차수 방진에서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바로
바깥
엔 소행성들로 차 있는 카이퍼벨트 영역(1990년대 초에 발견)이 있고, 아주
바깥
에는 혜성을 공급하는 오르트 구름층도 있다. 많은 천문학자들은 태양계의 행성은 원시태양 주위의 구름층으로부터 생겨났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렇다면 별 주위에 있는 먼지구름층은 행성의 존재와 밀접한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중심을 향해 매우 빠른 속도로 떨어진다. 이 때 충격파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별의
바깥
층은 우주 공간으로 흩뿌려진다. 이것이 ‘초신성 폭발’이다.한편 중심핵에 있던 원자들은 급격한 수축작용으로 인해 원자들끼리 서로 부딪히고 뭉그러지는 과정을 되풀이한다. 수축과정이 더욱 진행되면 ... ...
분홍색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못하고 있다. “블랙홀 자체가 분홍색이 아니라는 것은 확실하다. 분홍색 빛은 블랙홀
바깥
쪽에 있는 가스로부터 나오는 것 같다.” 프랜시스 교수의 말이다. 아마도 블랙홀 주면의 성간물질, 가스 등이 블랙홀의 입구로 소용돌이쳐 들어가며 강력한 분홍색 빛을 발산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형성과정이나 다른 이론적인 연구에 바탕해서 볼 때 목성과 같은 거대행성의 경우 4AU
바깥
에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이들 세 개의 행성은 다른 네 번째의 알려지지 않은 천체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내부로 끌려들어왔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네 번째 천체는 또다른 거대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