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발표하기 어려웠을지도 모른다.1979년에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가 나서서 1919년의 데이터를 현대적인 기법을 동원해 정밀하게 다시 조사했다. 시야가 좁은 4인치 렌즈로 측정한 결과는 약 1.90초, 천체사진렌즈의 결과는 약 1.55초로 분석돼 아인슈타인이 옳았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1919년의 결론은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컴퓨터와 기계학습 알고리듬이 60년 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발달했고, 특히 빅데이터의 등장으로 판 자체가 바뀌었다(3파트 참조). 이제 약한 인공지능으로도 실생활에서 놀라운 편의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과연 어떤 기술이 돌파구를 마련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터미네이터는 ... ...
- 필래, 정신이 좀 드니?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기온에서 24W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필래에는 방전되기 전까지 혜성을 탐사한 정보 8000 데이터패킷 가량이 저장돼 있다. ESA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정보를 수신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혜성이 태양 가까이 이동할수록 혜성에서 가스와 먼지가 뿜어져 나와 필래가 튕겨나갈 위험이 클 것으로 ... ...
- 논문 한 편의 저자가 1014명?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은 학부 학생이 900명 이상 포함됐다. 대부분은 실험을 위한 원본 데이터를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 학생들이었다. 학계에서는 논문 저자의 기준을 지나치게 확대 적용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국제의학학술지 편집인 위원회가 정한 저자의 기준인 ‘기초적인 작업을 하거나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확인한다. 이를 통과하면 지문을 등록하라는 메시지가 뜬다. 홈버튼을 누르면 내 지문이 데이터화되고, 동시에 공개키와 비밀키를 만든다(64쪽 랜섬웨어 기사 참고). 지문과 비밀키는 내 휴대전화에 저장되고, 휴대전화 정보와 공개키는 파이도 서버 및 과동카드 서버로 전송된다. 제대로 등록이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천체사진으로 꽉 찬 1TB짜리 하드디스크 15개가 매일 밤 쏟아져 나오는 거예요. 게다가 이 데이터는 찍는 즉시 전세계에 무료로 공개될 예정이에요. 집에 가만히 앉아서도 우주 지도를 볼 수 있는 거지요. LSST의 촬영 기록은 다른 거대망원경이 흥미로운 관측 지점을 찾고 별을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이 ... ...
- INTRO. 도시, 지진, 빅데이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도시, 지진, 빅데이터최근 네팔에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눈앞을 흔들어 놓는 지 진 앞에서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다. 지진은 자연재해 중에서 도 가장 위험 ... INTRO. 도시, 지진, 빅데이터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쾅’ 굉음과 함께 모든 것이 흔들렸다. 첫 지진은 4월 25일 오전 11시 56분, 수도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81km 떨어진 람중 지역에서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가 11km에 불과한 ... INTRO. 도시, 지진, 빅데이터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따라 이동했던 것이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의 로저 브라더스 연구원은 19년간 모은 데이터를 분석한 끝에 이 사실을 발견했다. 흥미로운 것은 몸집이 골프공 크기에 불과한 갓 태어난 아기 붉은바다거북이 자신이 태어난 곳의 지구 자기를 기억한 후, 먼 훗날 어른이 된 뒤에 귀향한다는 사실이다.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크랩스터가 모습을 드러냈다. 빨간색 천장에 각종 센서와 조명, 그리고 전력을 공급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검은 케이블 등이 달려 있었다. 몸체는 밀봉돼 있지 않았다. 10m 들어갈 때마다 1기압씩 더해지는 수압을 상쇄하기 위해서다.단연 돋보이는 건 노란 양 옆면에 각각 3개씩 붙은 다리 6개였다.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