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답
대답
회답
정해
정답
해제
합계
d라이브러리
"
답
"(으)로 총 2,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누고 비교하는 분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다른 질문의
답
은 모두 자연수지만 12÷5의 해
답
은 자연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12÷5의
답
을 구하기 위해선 분수와 같은 표현 방법과 유리수라는 수 체계가 필요합니다.즉 나눗셈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유리수로 수 개념이 확장돼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개념이 분수입니다.교과서에 숨은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함을 발견했다. RNA 조각 맨 앞의 G가 첨가한 구아노신의 G라는 사실도 밝혀졌다. 화학자
답
게 체크 교수는 여기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을 설명하는 식을 만들어 1981년 생명과학저널 ‘셀’에 발표했다. 구아노신 - 염기와 리보오스(당)가 결합된 분자를 뉴클레오시드라고 부르는데, 구아노신(guanosine ... ...
환상의 그림나라에서 알쏭달쏭 과학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두 숫자끼리의 비율이 뒤로 갈수록 점점 황금비율과 같아진다지 뭐야. 그럼 혹시 정
답
이 황금비율…?맞았다옹! 두 사람 모두 나의 무도회에 온 것을 환영해. 함께 가자.아니, 여왕님? 설마 냥냥이가 여왕님? 숨겨졌던 또 다른 저주가 풀린 건가?아무려면 어때. 우리들의 모험은 이제부터가 시작인데~! ... ...
숫자로 풀어 보는 바둑의 원리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것이다. 즉 백이 놓아야 할 곳은 흑의 힘을 최대한 상쇄시키는 점이 된다. 물론 처음에는
답
이 여러 개 나오겠지만 경기를 진행할수록 개수는 줄어들 것이다.가정 3은 처럼 사석, 즉 죽은 돌을 정의하는 데도 자연스럽다. 즉 사방이 막혀 힘을 잃은 돌을 죽었다고 정의하는 것이다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그러나 정확히 어떤 방향의 융합과 학제 간 연구가 이뤄져야 하는지는 아직까지 아무도
답
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몇 년간 시대의 대세로까지 취급받았던 ‘통섭’ 역시 부침을 겪고 있다. 최근에는 박이문 연세대 초빙교수가 ‘통합의 인문학’을 발간하면서 윌슨의 통섭론을 비판하기도 했다.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모습을 보면 모범
답
안을 외우는 데 급급한 학생들이 많다. 사실 경시대회처럼 이미
답
이 알려진 것만을 잘 푸는 사람은 학자로 성공할 수 없다.특히 대학입시에 써먹으려고 경시대회에 출전하고 수학 공부를 하는 사람은 유학 가면 박사학위를 받기조차 힘들다. 2018년에 한국인 필즈상 수상자가 ... ...
‘꿈’이 필요한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암기된 듯하다. 다음으로 그 직업을 선택한 궁극적인 이유를 물어보면 대부분은
답
을 못하거나 집안 내력을 이유로 든다. 과연 이러한 이유로 대학과 전공을 선택하고 자기소개서에 솔직하게 쓸 수 있는 학생이 몇 명이나 될까. 아마도 속마음을 숨기고 그럴듯하게 거짓으로 꾸며 쓰게 될 것이 ... ...
기초 학업 위에 스펙 뒤따라야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자신이 작성한 자기소개서와 학업계획서의 내용에서 예상 면접 질문을 뽑아 스스로
답
해보는 훈련을 한다. 또한 친구들과 공통의 주제를 놓고 토론하는 연습도 도움이 된다. 육하원칙으로 살펴보는 입학사정관제 그렇다면 입학사정관제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그것을 알아보기 전에 ... ...
만화를 그리는 물리학자, 이기진 교수님의 보물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채린이(CL)도 제 보물이지요. 요즘은 채린이가 바빠서 자주 못 봐요. 뭐 하냐고 문자해도
답
도 빨리 안 오고…. 그래도 해야 할 이유가 분명하고 하고 싶다면 당연히 해야죠. 그래서 채린이가 가수하는 것도 찬성했어요. 가끔 집에 오면 힘들다고 징징대는데 어림 없죠. 하고 싶은 것을 하려면 그 ... ...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것은 분명한데, 이 FT 단백질이 실제 꽃을 피게 만드는 결정적인 원인인지에 대한
답
은 아직 없다. 또 이동한 FT 단백질이 어떻게 꽃봉오리까지 개화 신호를 전달하는지, 체관 내에서 어떻게 이동하는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개화신호를 선별하는 과정이 있는지 궁금한 점이 매우 많다. 야심 찬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