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엔진
기기
기계
숨통
숨구멍
공공기관
d라이브러리
"
기관
"(으)로 총 3,98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평면) 렌즈로 감싸 빛을 평행광선으로 만들어준다.국내에서 등대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기관
은 국토해양부다. 이곳에선 등대를 비롯해 선박운행에 도움을 주는 표지 시설들을 ‘항로표지’라고 부른다. 국내 최초의 근대식 등대는 1903년 6월 1일 처음 불을 밝힌 인천항 입구의 팔미도 등대다. 근처의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직접 터빈을 돌리는 가스터빈 엔진도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가스터빈 엔진은 내연
기관
과 달리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없다. 그래서 진동이 적고 소형 제작이 가능하다. 공기 흐름에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최대한 차체의 부피를 줄여야 하는 머신으로서는 매우 적절한 엔진인 셈이다. 그동안 ... ...
세계 무대 누비는 KAIST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있어 재학생은 물론, 교육 협약을 맺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삼성전자 같은
기관
의 연구원들도 수강하고 있다. 2009년 가을부터는 예비 신입생들이 입학 전에 수학과 화학, 물리 같은 과목의 기초과정을 미리 온라인으로 이수하게 하는 ‘브릿지 프로그램’도 열었다. 또 글로벌 e러닝센터에서는 ... ...
첨단 과학 이끄는 대형 연구단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기관
으로 이뤄져 있다. 17차례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을 정도로 세계 최고의 연구
기관
중 하나다.포스텍은 최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협약을 맺고 아토초과학과 복합소재 연구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연구센터의 규모를 계속 확장해 2015년까지는 막스플랑크 한국연구소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 ...
컴퓨터 바이러스, 사람 몸에도 침투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23mm인 이 장치는 알약 크기로 삼키기만 하면 내시경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인체 안의 소화
기관
에서 8∼11시간 작동하며 10만 화소의 영상을 초당 1.4∼2.8장 촬영해 허리에 차고 있는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 캡슐을 삼킨 뒤 평상시와 다름없이 활동하다가 수신 장치만 병원에 반납하면 내시경 검사가 ... ...
비타민C로 만든 전기 맛 한번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상적이지만 산화율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이들 물질이 소화
기관
에 흡수되지 않고 직접 연료로 사용되는 방법이 개발된다면 인체 삽입형 로봇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꿀벌 사회 전체는 척추동물 1마리와 마찬가지”라며 “여왕벌과 수벌은 각각 암수 생식
기관
, 일벌은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메커니즘을 담당하는 온몸”이라고 설명했다. 어느 날 무리 하나가 몽땅 사라진다면 꿀벌 사회 전체에 영향을 끼칠 만큼, 꿀벌은 서로 유기적으로 관계 맺으며 사회를 ... ...
‘솔직한 인간’이 밝히는 인간의 실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열정윤건일 지음 | 시대의창 | 228쪽 | 1만 2800원국내 기술이 해외로 유출될 위험을 수사
기관
에서 막았다는 소식이 가끔 보도된다. 천재 과학자가 어쩌다가 매국노가 됐을까. 현직 기자인 저자는 이형종 교수 사건과 포스코 기술유출 사건을 비롯한 수많은 사건의 실체를 찾아다녔다. 사건 당사자와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반응해 당질코르티코이드를 많이 만들어내기 위한 신체변화이고 면역조직이나 생식
기관
이 위축된 건 한정된 자원을 스트레스 반응에 집중하기 위한 몸의 선택이다. 생존에 위협이 되는 난관에 부딪쳤을 때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면역력이 튼튼하거나 번식력이 왕성해봐야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 ...
PART 3 똑똑한 곤충의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스위스 생물학자 뤼디거 베너는 그 원리를 밝혀 냈다. 개미는 움직이는 순간마다 감각
기관
을 총 동원해서 전체 거리와 방향을 감지한다. 즉, 복잡한 방향과 거리를 계산하며 직선으로 움직이는 것이다.이와 같이 방향과 거리의 정보를 함께 나타내는 것을 벡터라고 한다. 반면 방향은 없고 크기만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