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퍼졌다. 네이피어는 1619년 '로그체계의 작성'이라는 책에서 자연수 자리와 소수 자리를
구분
할 때 마침표나 쉼표를 사용하하는 아이디어를 냈다. 그 후, 영국에서는 공식적으로 마침표를 소수점으로 썼다. 이 방법은 전 세계에 널리 퍼져 오늘날 우리나라를 비롯한 거의 모든 나라가 마침표를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상반돼 보인다. 하지만 자세히 들 여다보면 로쉬의 연구는 색 차이가 뚜렷한 초점 색을
구분
하는 과제였던 반면, 위나워 교수팀의 연구는 미묘한 색 차이를 구 분하는 과제였다. 즉 색채를 지각해 구 분하기 애매한 경우에는 언어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나아가 언어의 역할은 구체 개념보다는 추상 ... ...
눈에 유전자 넣어 색각이상 극복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알아냈으며, 같은 방법을 이용해 유전자를 주입시킨 뒤 원숭이가 색을 정상적으로
구분
하게 됐다는 사실도 확인했다.의학계에서는 지금까지 색각이상을 치료하는 일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번 실험이 성공함으로써 유전자를 넣는 방식으로 사람의 색각 이상도 치료할 수 있다는 희망이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별의 밀도도 낮다. 별이 1000억 개쯤 되는 안드로메다은하는 중심이 너무 밝아 별을
구분
할 수 없지만 왜소은하 대부분은 별을 하나하나 볼 수 있을 정도다. 따라서 우리은하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왜소은하는 너무 어두워 웬만한 망원경으로도 잘 보이지 않는다. 사실 왜소은하의 존재가 처음 밝혀진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이렇게 집단들 간의 유연관계(연관관계)에 따라 무리를 짓고, 생물들 간의 특성을
구분
해 이름을 정확히 밝히는 일은 분류학에서 기초적이면서도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정약전 역시 종 분류에서, 생물의 이름을 정확히 알아내는 일이 중요함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자신이 모르는 생물의 이름은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촬영하기 매우 까다롭다. 비교적 낮은 강도의 에너지를 쪼여야 금속들의 미미한 차이를
구분
할 수 있다.발상의 전환정월대보름에 부럼을 깨물려고 땅콩과 호두를 사왔다. 예부터 견과류를 깰 때 딱 하고 나는 소리는 악귀들을 쫓는다고 했다. 하지만 사실 의학적으로 견과류를 씹을 때 이가 마주치는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수 있다는 사실이다. 렌즈는 사람의 눈을 모방해 만들었기 때문에 정확한 형태와 색을
구분
할 수 있지만 충격을 비롯한 외부 자극에 취약하다. 게다가 렌즈는 모든 카메라에 딱 하나씩 달려 있기 때문에 위험 부담은 더욱 크다. 하지만 광섬유는 얘기가 다르다. 광섬유의 성능은 고성능 카메라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인지심리학자인 저자는 인간의 일상을 지배하는 다양한 심리를 실험을 통해 설명한다.
구분
짓기에서 군중심리, 자아도취, 거울 메커니즘까지 마음이 내가 행동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보자.이공계 연구실 이야기유영제 지음 | 동아시아 | 236쪽 | 1만 2000원글로벌시대에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비싼 술을 담아 팔려고 해도 똑같은 병에 값싼 술을 담아 재활용한 병마개를 쓰면 둘을
구분
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원점으로 돌아간 그는 딱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는 병뚜껑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번에는 맥주거품이 새나가지 않고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방법에 더욱 집중했다. 마침내 1891년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것이다. 우리나라는 1923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경찰청의 지시로차도와 인도를
구분
하기 시작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안전한 세상을 만드는 수학의 원리. 참 신기하죠? 이 세상은 수학으로 가득 차 있답니다. 오늘 배운 원리들을 가족과 친구에게 전해 보세요. 수학과 함께라면 모두 더욱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