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DNA"(으)로 총 2,126건 검색되었습니다.
- 똑똑하게 하는 유전자가 따로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05.23
- 현재까지 지능과의 연관성이 밝혀진 적 없는 유전자다. 연구진은 7만8308명의 유전자(DNA)를 분석한 후 이들의 IQ 테스트 점수와 비교해 지능과 연관성을 보인 유전자들을 추려냈다. 이들 유전자는 대부분 뇌 조직에서 발현됐으며, 뇌 세포의 발달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 ...
-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과학동아 l2017.05.18
- 센서의 성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팀은 단백질과 DNA 등 바이오 분자에 나노 크기의 초상자성 입자를 부착했다. 초상자성입자는 주변에 자기장이 있을 때만 자석으로 변하는 입자다. 또 거미줄 모양을 본 따 미세 자기장 패턴을 만들고 중심부에 바이오센서를 ...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동아사이언스 l2017.05.14
- X선을 이용하는 방법을 찾아낸 브래그 부자는 물론 왓슨과 크릭(그리고 프랭클린)의 DNA ‘결정’ 구조도 바로 이 방법으로 밝혀졌습니다. 그 뒤로도 여러 단백질, 효소들이 결정화 되면서 구조가 밝혀졌지요. 단백질의 구조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빽빽하고 단단하게 고정된 단백질이 필요합니다. ... ...
-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과학동아 l2017.05.12
- 유전자 치료나 바이오센서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DNA뿐만 아니라 다양한 핵산을 이용해 나노 꽃 입자를 만들어 유전자 치료나 바이오센서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B’ 12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doi:10.1 ... ...
- 혈액 속 약물 농도 파악하고, 적정량 투여까지 한번에동아사이언스 l2017.05.10
- 구성된다. 핵심은 분자집게로 알려진 ‘압타머’다. 압타머는 한 가닥으로 이뤄진 DNA로 작은 화합물이나 바이러스, 중금속, 단백질 등의 존재 여부에 따라 활성이 달라진다. 센서가 압타머의 변화를 감지해 혈류 속 약물의 양을 파악하는 식이다. 혈류 속 약물의 양이 많을수록 압타머도 많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2017.05.10
- 두 번이나 탄 인물이다. 인슐린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규명해 1958년 화학상을, DNA염기서열분석법을 개발해 1980년 역시 화학상을 받았다. 각각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끈질기게 매달린 결과다. 2002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싱가포르 분자세포생물학연구소의 시드니 브레너 박사는 ... ...
- 신발끈을 푸는 보이지 않는 손의 비밀과학동아 l2017.05.03
- 말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밝혀낸 신발끈이 풀리는 원리가 매듭 구조를 가진 물체나 DNA 이중나선 등을 연구할 때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doi:10.1098/rspa.2016.077 ... ...
- [표지로 읽는 과학] 보리 유전체 해독 첫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7.04.30
- 시퀀싱’이라는 기존 염기서열 해독법에 적용했다. 샷건 시퀀싱은 임의로 절단해 얻은 DNA 조각에 든 염기서열 자료를 컴퓨터 편집 프로그램에 입력해 조합하는 방식으로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알아내는 방법이다. 그 결과, 연구진은 밀과 호밀이 포함돼 있는 밀족(Triticeae)의 유전체를 처음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2017.04.25
- 궁극적인 목표는 ‘DNA 기반 몽타주’를 만드는 것이라고 한다. 즉 범인이 남긴 DNA에서 게놈을 해독해 얼굴 형성 유전자들의 유형을 추출해 이를 기반으로 몽타주를 그린다는 것이다. 이게 과연 얼마나 예측력이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얼굴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부분이 유전성도 크다는 최근 ... ...
- 임신 중 지방 및 당분 과다섭취, 자녀 ADHD 위험성 높여2017.04.22
- 해마의 뇌 발달에 관여하는 IGF2(insulin-like growth factor 2,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2) 유전자의 DNA 메틸화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 이것은 훗날 아이의 행동장애 및 ADHD의 발병률을 높이는 이유가 됩니다. 결국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내 아이의 정신건강을 위해 엄마는 10개월이라는 임신 기간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