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재"(으)로 총 2,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테마가 있는 영화] 사회생활 잘하는 법, ‘인턴’2017.11.11
- 회사다. 처음 25명으로 시작한 사원 수는 벌써 220명으로 늘어났다. 회사는 경험 많은 인재를 채용하면서 사회적으로도 기여할 수 있는 시니어 인턴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한다. 은퇴 후 부인과 사별한 ‘벤’(로버트 드 니로 분)은 삶의 공허함을 채우기 위해 이 회사에 시니어 인턴으로 입사한다. ... ...
- [과학동아 카페 특강 개최] 예비수험생 통합과학&수학 전략 과학동아 l2017.11.07
- 인재다. 그렇다면 창의융합형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창의융합형 인재가 되기 위해 교과과정에서 주목해야 될 부분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답을 과학동아와 이투스가 준비했다. 과학동아는 이투스와 공동으로 16일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예비수험생이 될 청소년을 응원하기 ... ...
- [테마가 있는 영화] 배우 김주혁을 기리며, ‘홍반장’2017.11.04
- 세계 최고의 교육열을 자랑하는 나라답게 그 어떤 세대보다 똑똑하고 능력 있는 인재들이 넘치지만 어디에도 정착할 수 없는 현실. 그 속에서 전문직, 공무원, 대기업 사원이 아니라면 번듯한 직장이 없다고 무시 받기 십상이다. 홍반장 캐릭터는 현실의 반영이다. 어느 누구보다 다재다능하지만 ... ...
- “융합형 창의 인재 양성… 산업 밑거름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7.11.03
- 추가되면서 현재 한국과학창의재단의 모습을 갖췄다. 박 이사장은 “앞으로는 창의융합인재가 매우 중요한데, 융합은 창의를 구현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라며 “유(有)와 유(有)를 융합해 새로운 유(有)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폰을 융합형 창의의 대표적인 예로 들었다. ... ...
- [진단, SW 교육] 우리가 소프트웨어 교육으로 얻는 것은 무엇일까?2017.10.26
- 중요하다. 성적이 당장 올라가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세상이 원하는 인재상도 융합형 인재라고 하지 않나. 문제 해결 능력이 갖춰지고, 현장의 문제들이 더해지면 더 나은 환경이 만들어질 것이다. ※ 필자소개 최호섭. PC사랑을 시작으로 최근 블로터까지 IT 분야만 팠다. 차에서 보내는 시간이 ... ...
- 동아사이언스-테크빌교육, SW 교사 지원 손잡아동아사이언스 l2017.10.19
- 개발 및 보급을 위해 MOU를 체결했다. - 동아사이언스 제공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가진 인재를 키우기 위한 SW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가 교사 교육이라는 사실에 공감, 현장 교육 지원에 힘을 모으기로 합의했다. 두 회사는 방과후교사에게 필요한 SW융합교육 통합솔루션 ‘알코:사이언스’를 ... ...
- 졸업 하기 전 이미 취업...대덕SW마이스터고 졸업생 사회 첫발동아사이언스 l2017.10.18
- 각자 위치에서 실력을 인정 받고 있다. 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는 소프트웨어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정부에서 세운 전문계 학교다. 대덕, 대구, 광주 등 전국에 3개 학교가 있으며 그 중 가장 먼저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가 2015년 3월 문을 열었다. 내년 초 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에서 ... ...
- [2017 국정감사] 출연연 재취업한 관계부처 퇴직 공무원, 실적 없이 성과급 챙겨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출연연이 부적절한 인사에 휘말려서는 제대로 된 성과를 낼 리 만무하다”며 “훌륭한 인재들이 적재적소에 배치될 수 있도록 출연연 차원의 엄격한 채용기준과 관리감독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연구회 관계자는 “출연연이 공직자 재취업 제한기관으로 선정된 것은 2015년으로 ... ...
- KAIST 등 과학기술원 4곳에 초·중등 과학교육 프로그램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7.09.26
- 세부 이행 계획은 각 소관 부서가 향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강병삼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이번 정책 방향이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 있는 과학기술인을 양성하고, 과학기술과 사회가 좀 더 긴밀해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 노벨상 유력 연구의 비결...박남규 교수 “모두가 외면해도 가능성 믿었다”동아사이언스 l2017.09.25
- 게 국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좋은 논문과 노벨상, 기술이전, 인재양성 등 연구자들 각자의 다양한 욕구를 잘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연구자들 스스로도 철저히 개인적으로 하고 싶은 연구보다는 사회와 국가, 시대가 필요로 하는 연구가 무엇인지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