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뉴스
"
유지
"(으)로 총 8,202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합성 비밀 풀리나...tRNA 화학적 변형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9.27
오류 없이 일어나야 한다. 이 과정에 오류가 생기면 잘못된 단백질이 합성돼 생명
유지
에 필요한 작용들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tRNA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려면 tRNA 변형 효소에 의해 tRNA 분자 내에 화학적 변형이 선행적으로 일어나야 한다. 이러한 화학적 변형이 진행되지 않으면 궁극적으로 생명에 ... ...
피부처럼 늘어나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27
제작된 소자의 밝기와 소리는 우수했으며 5000번 이상의 변형 실험에도 95% 이상 원형을
유지
하는 등 안정성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통해 ‘시청각 이중 암호화 소자’도 제작했다. 시각적으로 암호화된 이미지 코드는 특정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때 해제되도록 설계할 수 ... ...
[레디!퓨전] 최대 '인공태양' 토대 제공한 '이곳'...핵융합 안정화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6
반응생성물(헬륨)과 불순물을 운전 중에 연속적으로 제거해 핵융합 반응이 안정적으로
유지
되도록 하는 역할이다. 중성자에 직접 노출돼 있어 초내열 성능이 필수적이다. MPIPP에서 핵융합로의 내벽재료 표면과 플라즈마 경계면 사이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볼프강 야콥 박사는 ... ...
"체중관리 하려면…오전 7~9시 중·고강도 운동이 가장 효과적"
연합뉴스
l
2023.09.2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침 그룹은 한낮 또는 저녁 그룹보다 건강한 식단을
유지
하고 체중 단위당 일일 에너지 섭취량도 적었으며, 하루 중 앉아있는 시간이 훨씬 길었지만 체질량 지수와 허리둘레는 다른 그룹보다 일관되게 낮았다. 중·고강도 신체활동 시간대 및 총시간과 BMI 연관성 ... ...
18개 기초과학단체 "R&D예산 삭감안 '원점 재검토' 촉구"
동아사이언스
l
2023.09.25
창의로 만드는 담대한 미래라는 국정목표 및 ‘R&D 예산을 정부 총지출의 5% 수준에서
유지
’하겠다는 정부의 약속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 총지출이 증가했음에도 유독 R&D 예산만 큰 폭으로 삭감한 것은 재정 운영 비효율성의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정부 스스로가 ... ...
전기차에 활용 가능한 전고체전지 소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25
또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인 센티미터(cm) 당 0.0001지멘스(S)의 높은 이온전도도를
유지
했다. 셀 여러 개를 직렬로 연결해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적층형 셀도 만들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팀은 개발한 고체전해질막이 전기차에 쓰일 수 있는 수준의 전고체전지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 ...
반도체 기술 접목해 그린수소 생산 효율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9.25
충분한 양의 전자를 지속적으로 보충해 줌으로써 촉매의 높은 수소 생산 효율을 장기간
유지
하게 된다. 연구팀은 이를 고분자 전해질막 수전해(PEMWE) 장치에 적용해 기존 이리듐(Ir) 상용 나노입자 촉매에 비해 최대 75배 개선된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 향상을 달성했다. 동시에 높은 전류 밀도에서 ... ...
[과기원NOW] GIST, 독일항공우주연구소와 수소에너지 공동연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9.24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독일항공우주연구소(DLR)와 2013년 최초 체결한 기밀
유지
협약(NDA)을 최근 갱신했다고 22일 밝혔다. 두 기관은 ‘미래형 고출력 리튬 배터리개발’의 핵심 연구기술을 내부적으로 공개․교류하기로 한 NDA를 시작으로 ‘차세대 가볍고 오래가는 리튬-황 배터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미생물과 같이 아주 작은 생물체의 특정 부위에 달라붙어서 그 미생물에 생존력을
유지
할 수 없게 하는 물질이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이 생각이 발전한 것이 살바르산606의 개발로 이어졌다. 이미 1908년에 항체 합성 이론을 통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그는 인류가 화학적 합성을 통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AI가 질병 유발 유전자 변이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9.24
잘못된 변화를 '미스센스 돌연변이'라고 한다. 알파미스센스는 DNA가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
할지 예측하는 방식으로 질병 발생 가능성을 평가한다. 알파미스센스는 구글 딥마인드가 앞서 개발한 단백질 구조 예측 모델 '알파폴드'를 토대로 개발됐다. 2020년 개발된 알파폴드는 당시 인간이 가진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