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97건 검색되었습니다.
12일 밤 시간당 110개 별똥별 쏟아지는 우주쇼…관측 전망 '흐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 유성체는 지구 대기로 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들어오며
빛
나지만 이를 지상에서 바라보면 상대적인 위치 때문에 한 지점을 중심으로 흩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이 한 지점을 복사점이라 한다. 유성우의 이름은 복사점이 있는 별자리 이름을 따 지어진다. 유성우를 만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 블루 원인은 어쩌면 전자기기의 파란
빛
?
2020.08.04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최대 1만 럭스의 백색광이 나오는 ‘인공태양’을 집에 두고 ‘
빛
치료’를 한다. 코로나19로 실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 우리나라에서도 필요한 아이템이 아닐까. 위키피디아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좀비영화 속 바이러스 대분석
과학동아
l
2020.08.01
않는다. 최경식 순천향대 서울병원 안과학교실 교수는 “동공이 혼탁하면 밖에서 들어온
빛
이 망막 뒤쪽에 시신경이 모여있는 황반에 맺히지 않아 사물을 제대로 인지할 수 없다”며 “좀비의 동공 상태만 보면 실명에 가까운 수준으로 사물을 분간하지 못 해야 하는데, 좀비가 사람을 명확하게 ... ...
[프리미엄 리포트] '갤럭시A 퀀텀'에 들어간 양자난수생성기란 어떤 장치인가
과학동아
l
2020.08.01
적용한 난수생성기를 작은 칩셋으로 만들어 스마트폰 안에 탑재한 것이다. 이 또한
빛
의 무작위성을 이용했다. SK텔레콤이 갤럭시 A 퀀텀에 탑재한 QRNG 칩셋은 레이저 대신 발광다이오드(LED) 광원에서 방출된 광자를 이용했다. 양자난수생성기와 함께 내장된 이미지 센서가 방출된 광자를 감지한다. ... ...
'감염 확인까지 딱 15분' 임신진단키트 같은 코로나19 진단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만나도록 설계됐다. 바이러스가 존재하면 항체와 바이러스 항원이 결합하는데 항체에
빛
을 내는 나노입자를 넣어 바이러스가 붙으면 빨간색을 내 맨눈으로 감염 여부를 판단하게 한다. 김 연구원은 김승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책임연구원과 박대의 안전성평가연구소 선임연구원과 공동으로 ... ...
위변조 막을 새로운 색변환 잉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주로 쓰이는 액정도 첨가물을 넣어 액정 분자를 나선형으로 만들면 특정 파장대의
빛
만 반사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를 반복적인 구조로 만들면 두 가지 이상 반사색을 갖게 해 정교한 위변조 방지 소재로 응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한 층씩 반복적으로 쌓으려면 정교한 설비들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 ...
반딧불이 삼킨 개구리
팝뉴스
l
2020.07.30
따르면 개구리가 반딧불이를 삼켰다고 한다. 삼킨지 얼마되지 않아 반딧불이가 아직
빛
을 내고 있었다는 말이 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공기 중 유해물질 바이러스 입힌 센서로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기판 속 컬러 센서 역할을 하는 구조가 특정 파장에 공진을 일어나게 해 훨씬 선명한
빛
을 띠도록 만들었다. 이를 이용해 물체를 감지하는 데 쓰이는 바이러스층의 두께를 60나노미터(nm·10억 분의 1m)까지 줄였다. 송 교수는 "바이러스층 두께를 줄이면서 다른 센서는 0.3초의 반응 속도를 보이는 ... ...
[주말N수학]끈기와 소신을 지키는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20.07.25
하지만 스메일 교수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어렵사리 박사학위를 받은 뒤부터
빛
을 발하기 시작했습니다. 역사적인 난제인 ‘푸앵카레의 추측’이 5차원 이상에서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해 수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그 업적으로 1966년 필즈상을 받았습니다. 스티븐 스메일 캘리포니아대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교수의 인터스텔라》,《아주 특별한 상대성이론 강의》, 《사이언스 브런치》,《
빛
의 속도로 이해하는 상대성이론》을 썼고 《최종이론의 꿈》, 《블랙홀 전쟁》, 《물리의 정석》 을 옮겼다. 한국일보에 《이종필의 제5원소》를 연재하고 있다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