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 단"(으)로 총 3,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가져와 광결정으로 이용될 수 있다.단 광결정은 한번 만들면 바꿀 수 없다. 여기서 ... 색 바뀌는 ‘야누스 구슬’연구단은 미세한 양의 유체를 마음대로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해 대량의 광결정을 순식간에 만드는 획기적인 방법도 개발했다. 연구단은 머리카락 굵기보다 얇은 관으로 수십~수백μm ... ...
- 조립식 천체망원경 HT-40400 DIY 망원경으로 겨울밤을 만끽하자!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추운 겨울 야외에서 별을 관측하려면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한다. 실내용 플라네타리움으로 별자리에 대해 숙지하거나, 달의 표면 무늬에 대해서 공부하면 관측의 즐거움을 더할 수 있다. 여기에 손을 녹일 수 있는 손난로와 어두운 곳을 밝힐 전등이 있다면 금상첨화다. 이 모든 제품을 시앙스몰(www ...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과학동아 l2010년 01호
- 009년 8월 8일 늦은 오후 필자와 동료 한 명은 킴벌리 서쪽 관문 더비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시작하는 ‘깁강(Gib river)’ 도로는 이 지역을 횡단하는 유일한 길로 총 길이가 670km에 이른다. 도로는 우기를 제외한 건기에만 열린다. 킴벌리는 지형이 너무 험하고 외져 있어 호주 사회에도 1980년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전이라면 몇 가마니를 구입할 수 있겠소?”1713년 한양에서 몇 명의 중국 수학자와 조선의 수학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었다. 중국인 수학자 하국주는 간단한 방정식 문제로 조선의 수학자들을 시험했다. 대적하던 조선의 수학자 홍정하는 간단하게 대답을 내놓았다.“첫 문제는 648냥이고 두 번째는 23 ...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6호
- 퇴적물에 남아 있는 꽃가루도 중요한 단서야. 실제로 러시아의 연구팀이 ... 뼈가 있듯이 조개와 게 등의 단단한 부분이 오랜 세월이 지난 뒤에도 남아 있는 거지요. 그 주요 성분이 바로 탄산칼슘(CaCO₃)이랍니다. 탄산칼슘은 바닷물에 녹아 있던 이산화탄소와 산소, 칼슘이 만나서 만들어진 거예요. ... ...
- 여기는 해상교통관제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6호
- 할 수 있을까 걱정스럽지만, 일단 믿어 보기로 했습니다. 아, 드디어 ... 여기는 인천항이에요. 2008년 한 해 동안 모두 2만738척의 국내외 배가 ... 있을까요?인청항의 모든 배를 추적한다! -VTS 시스템VTS는 인천항에 설치된 5개의 레이더로 배를 찾아낸 뒤, 배에 단‘ 선박 식별 장비’를 통 ...
- 나무 연구가 한자리에! 국립산림과학원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3호
- 없는 장점이 많사옵니다.”❶ 따뜻한 실내 | 나무로 만든 집은 단열성이 높아 따뜻하다. 원목으로 ... 현상. 악기도 공명 현상을 이용한다.“물론 목조 주택에도 단점은 있사옵니다. 소음이나 지진에 약하다는 점이지요. 하지만 산림과학원에서 새로운 목조 건축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니, 이 문제도 ... ...
- 수학을 알면 음악이 즐겁다.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장조인지, ♭(flat)이 2개면 무슨 단조인지, #5개를 오선지에 그리려면 어떠한 순서대로 그려야 하고 그 이유는 ... F의 반음을 올린 D(D, F#, A)가 돼야 한다.단조화음을 만들자!화음 (I, III, V)에서 I과 III 사이에 반음 간격이 있고 III과 V 사이에 반음 간격이 없어도 듣기 좋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손실을 줄이려면 구리 도선의 단면적이 커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런 ... 이 조명 시스템은 5년 동안 수익을 단 한 푼도 내지 못했지만 그 대신 홍보 효과를 톡톡히 냈다. 이때부터 백열전구 조명 시스템은 인구가 작은 소도시로 서서히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그 이후로는 실내 가스등으로 인한 ...
- [수학의 위대한 발견] 별난 수, 소수의 발견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자연수 중에는 약수의 개수가 단 2개뿐인 수가 있습니다. 자신을 ... 1과 자기 자신만이 되는 것이죠. 이러한 수를 소수라고 합니다.정수를 ... 둘레를 계산해 보았다는 점만은 대단하다.수학자는 더욱 더 큰 소수를 꿈꾼다 수학의 한 분야인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의 꿈은 끝없이 소수를 찾을 수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