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으)로 총 1,7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곧 실용화할 첨단 비행기들 STOL·VTOL·V/STOL의 삼총사과학동아 l1988년 06호
- V/STOL항공기의 성공열쇠를 쥔 수직 수평 변환 과정은 매우 어려운 항공제어기술을 요구하고 있다.그러나 인간은 푸른 창공으로의 비상을 위한 도약을 거듭해 왔다. 여기에는 달왕복과 인력 비행기를 이용한 영불해협횡단 그리고 무정지 세계일주비행 등을 꼽을 수 있다. 앞으로도 보다 새롭고 ... ...
- 태양에너지 시대의 개막 전남 하화도에 20KW의 태양광발전소 생겨과학동아 l1988년 06호
- 애로가 많고 매연 소음 등이 심하다. 이들 지역을 디젤발전에서 태양광발전으로 대체하면 이러한 단점들이 한꺼번에 해소될 수 있다는 것. 우주용으로 시작. 급속히 발전했던 태양광발전은 앞으로 1~2년 내에 송전선이 설치 불가능한 도서지방의 자가발전으로 각광을 받을 것이며, 타발전 양식과 ... ...
- 퍼스널컴퓨터를 위한 LAN개발과학동아 l1988년 06호
- 왕컴퓨터코리아는 최근 산업표준 PC를 위한 근거리지역통신망(LAN)을 개발 발표했다. Wang PC LAN이라 불리는 이 시스팀은 왕의 PC200시리즈뿐만 아니라 IBM PC/XT, PC/AT 호환기종과 새 ... VS시스팀 하의 왕 사무자동화 패키지 사용자들과 전세계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도 가능하다.(문의처 784-6111 ... ...
- 국산자동차의 연비측정, 어떻게 했나과학동아 l1988년 05호
- 국산승용차의 연비(에너지소비효율)가 공인시험기관에 의해 처음으로 측정, 공표됐다. 국립환경연구원이 조사, 지난 4월8일 발표한 '승용차의 에너지소비효율 측정시험결 ... 하며 광고문안에도 밝혀야 하기 때문이다. 수입외제차의 경우도 연비를 측정, 공표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 ...
- 부활을 기다리며 냉동인간 제조 이미 수백명과학동아 l1988년 05호
- 영하 1백96℃에서 냉동된 채로 죽음을 거부하는 사람들. 미래는 그들을 되살려낼 것인가? '돌아온 홈즈'. 이는 최근에 방영된 한 텔리비전 외화의 제명이다. '코난 도일'의 추리소설 ... "최초로 해빙을 시도하는 날이 곧 냉동인간보존술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는 날"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
-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도구, 프로그램 언어과학동아 l1988년 05호
- 판단에 의해서이다.프로그램 언어를 꼭 배워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우선 작성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을 파악하여 어떤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일단 하나의 언어를 배우면 외국어를 배우기 어려운 것과 같이 프로그램 언어도 한번 배워 익숙해지면 다른 프로그램 ... ...
- 포항공대·포항제철과 협동체제 갖춘 산업과학기술연구소과학동아 l1988년 05호
- 과학기술발달을 위한 연구개발노력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최근 몇년 사이 우리나라에도 연구개발의 열풍이 불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 정부는 정부대 ... 국제적인 제철소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철강과 신소재연구의 메카로 성장할 바탕이 조성됐다고 하겠다 ... ...
- PART3 골치아픈 피부질환들과학동아 l1988년 05호
- 또는 피부색의 단단한 결절을 형성했다가 수개월내에 빨리 커지면서 하부조직까지 침윤하며 중심부에 궤양을 형성한다. 이 종양은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한 자외선 치료 후 10~30년간에 잘 발생한다. 초기에는 형태학적 특징이 없으므로 반드시 조직생검하여 확실히 검진해야 한다. 점도 ... ...
- 「마다가스카르」섬에 황금털 여우 원숭이 150여마리 살다과학동아 l1988년 04호
- 베른하르트 마이어의 보고에의하면 황금털 원숭이 1백50여마리만이 현재 그 섬에서 서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이어’는 현재 서독의 ‘보쿰’대학에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중인 학생 신분이다 ... ...
- PART II 간척·항만건설·조력발전 등 개발의 명암과학동아 l1988년 04호
- 대폭 증대했다고 해서 우리나라의 서해안을 모두 항만화·임해공단화 한다는 우는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자원확보와 환경보존이라는 양대 정책은 서해안의 경우, 어쩌면 두마리의 토끼를 잡으려는 것 만큼 어려운 문제일 것이다. 어느 때보다도 과학자, 국민, 정책담당자의 지혜가 필요한 때다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