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전염되기 좋은 상태가 된다. 바이러스의 행동에는 다 까닭이 있다.각각의 바이러스가 특정 전략을 고수하는 데도 저마다의 이유가 있다. 앞서 소개한 아데노바이러스,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자신의 유전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람처럼 DNA 이중가닥을 쓰는 공통점이 있다. 그 형태가 같기 때문에 오래 ... ...
- 베컴과 조던의 공통점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2+2, 6=3+3, 8=3+5와 같이 2보다 큰 짝수를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내볼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특정 숫자를 직접 계산하는 것은 수학적 증명이 아니라 확인 작업일 뿐이다. 실제 4×1018까지의 짝수에 대해 이런 성질이 성립하는지는 확인했지만, 2보다 큰 ‘모든’ 짝수에대해서 성립한다는 것을 완벽하게 ...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값을 예측한 뒤 실제와 비교합니다. 만약 예측이 빗나갔다면, 변수를 바꾸거나 변수 앞에 특정 상수를 곱하는 등의 수정작업을 거쳐 새로운 함수를 다시 만들죠.여기서는 기온, 습도, 강수량, 바람, 기압 이렇게 다섯 가지 변수를 이용해서 날씨를 예측하는 함수를 만들었지만, 사실 이보다 훨씬 많은 ...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사람간 감염이 쉽게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다행인점은 PB1-F2라는 단백질에서 특정 돌연변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1910년에 창궐한 스페인 독감과 2003년 이후 발생한 H5N1이 치명적이었던 까닭도 이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생겼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사람의 코, 목, 기도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DNA외에 RNA도 사용하고, 때론 둘 모두를 쓰기도 한다. 핵산 세 개의 배열(ATG,AUG 등)이 특정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시스템 또한 똑같다.같은 언어, 같은 말씨를 쓰는 두 사람은 동향(同鄕)일 가능성이 크다. 바이러스의 탄생 역시 같은 유전정보 언어를 쓰는 세포성 생물과 큰 연관이 있다고 추측해 볼 수 ... ...
- 뒤통수 함부로 때리지 마라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풀 때(오른쪽 둘)의 뇌파를 통계처리해 비교한 모습.과학문제를 풀자 영재의 뇌 특정 부위가 보통 학생과 다르게 활성화된다.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붉게 표시된다.2. 할 때 하고, 쉴 땐 쉰다영화 ‘샤인’에는 주인공인 천재 피아니스트 데이비드가 연주를 하는 중에 고정장치가 풀려 피아노가 ... ...
- [가상 인터뷰] 꿈의 소재, 그래핀에는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회전하기 때문에 양자홀 효과가 반정수($\frac{정수}{2}$)꼴로 나타나요. 좀 더 설명하자면, 특정 조건에서 전자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가 휘어요. 즉 똑바로 가는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전기가 생기는데, 이때 전기는 띄엄띄엄 생기지요. 이 현상을 ‘양자홀 효과’라고 불러요. 대개 이 값은 정수나 ... ...
- [20세기의 수학자] 방랑의 수학자 폴 에르되시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에르되시 수그래프 이론에서 다루는 주제 중에는 ‘협력그래프’라는 것이 있다. 어느 특정한 집단에 속한 사람들을 점으로 표현하고, 그 중 서로 협력하는 두 사람 사이에 선을 그어 얻어지는 그래프를 뜻한다. 사람의 수가 많아지면 이 협력그래프에 있는 몇 개의 점에 집중적으로 많은 선이 ...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있다.그래서 안전하게 치료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기 시작했다. 뇌의 특정 부위가 아니라 그 부분과 연결된 ‘신경다발’을 공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테러범을 잡기 위해 그들이 있는 건물을 직접 공격하지 않고, 건물로 가는 진입로를 막는 식이다.이 방법이 가능하려면 뇌 속의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수 있다고 주장했다.그렇다면 덧셈이나 뺄셈도 가능할까. 이어지는 실험에서 연구팀은 특정 가지에 시럽을 더 자주 배치했다. 이게 반복되자 개미들은 시럽이 자주 나오는 가지를 ‘특별한 가지’로 인식했다. 그 뒤 다시 무작위로 고른 다른 가지에 시럽을 넣고 실험했다.그러자 이번에는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