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목
단목
고비
대정
d라이브러리
"
큰못
"(으)로 총 1,779건 검색되었습니다.
건축설계 빛과 그림자속을 오가며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건축가라면 얼핏 듣기에 그럴듯 하지만 우리 사회의 온갖 모순과 유혹이 엉켜있는 특이한 전문 직업내가 대학을 갓 입학했을 무렵에 TV연속극 중에 장안의 화제가 되었던 프로가 있었다. 제목은 기억을 못하겠으나 김세윤 장미희 정윤희 정도가 주인공으로 나와 한남자와 두여자 사이의 삼각관계가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국어 TV수업은 학교수업의 복습으로 시작해서 정리·확인하는 학습으로 완결지어야 한다.이른바 TV과외라 불리우는 대입 수험생을 위한 TV고교 가정학습 방송수업이 전 국민의 비상한 관심 속에 지난 4월17일부터 방영되기 시작했다. 교재 파동까지 빚은 초기의 엄청난 관심과 시청률에 비하면 한 달 ... ...
항생제 KR 10664 개발한 김완주 박사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KR 10664. 우리 과학자가 만든 최초의 신약 이름이다. 이름 끝의 세숫자가 의미하듯이 6백64종의 신약후보들 중에서 선택받은 1종이 새로운 '제2세대 항생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이 신약을 탄생시켜 최근 어수선한 사회분위기에 신선함을 전해준 김완주(金完柱·47)박사.●- 꿈을 현실로 "뜻밖의 큰 ... ...
고3병의 예방과 치료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유독 우리 사회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병 아닌 병.' 이 병의 심각도는 개인의 인격성숙도에 반비례한다.작년 4월경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한 남학생이 필자의 외래진찰실을 방문하였다. 두통이 심하고 시험 때만 되면 불안하고 초조하며 만사 의욕이 없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증상이 생긴 것은 ... ...
기술사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연구실에서 아무리 놀라운 이론을 발견해도 현장에서 적용하지 못하면 공허한 이론이 된다. "기술사요! 기술사가 무엇입니까?" 몇년 전까지만 해도 이런 질문을 종종 받아온 터였지만 최근에는 이런 질문을 받을 때면 누군가 튀어나와서 "에이! 박사도 몰라요? 기술계 박사 말이요!"라고 대신 말해 ...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제2 에디슨'의 길은 가까운데 있다. 새롭고 실용적이고 날개돋친 듯 팔릴수 있는 발명품을 만들려면… 더해 보자수학에서는 '1+1=2' 또는 '1+2=3'등 답은 하나뿐이고, 또 정확하다. 그러나 발명에서는 다르다 '1+1'의 답이 1백일 수도 있고, 1천일 수도 있다.발명의 기법중에서 가장 쉬운 방법이 바로 이 ' ... ...
환경오염방지와 자원재활용을 위한 재생처리기술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날로 늘어만 가는 생활쓰레기와 산업폐기물, 이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우리가 하루에 쓰고 버리는 폐품은 어느 정도나 될까. 먹고 마시는 음식찌꺼기 연탄재 폐지 등 생활용품에서부터 폐합성수지 폐유 폐고무 등 산업용폐기물에 이르기까지 그 양은 엄청나다.87년 말 현재 우리나 ... ...
타조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동물가운데 가장 큰 포유류가 코끼리라면 조류중 가장 큰 새는 타조이다.조류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2억년전이다. 당시 오랫동안 번성했던 파충류의 일부가 분화되면서부터였다.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가장 오래된 새는 이른바 시조새(始祖鳥)다. ... ...
충치발생의 3대적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이에 세균 탄수화물이 모이면 사건이 터진다. 이들의 무서운 공모를 사전에 저지하려면···.요사이 충치 몇개쯤 없는 사람은 현대인 축에도 못들 정도가 되었다. 그만큼 충치는 현대인과 친숙한(?) 질병이 된 것이다.그러나 실제로는 그것이 어떻게 생기며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아는 사람은 별로 없 ... ...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인류의 보금자리 지구는 45억년전 태어난 이래 매우 중대한 위기를 맞고 있다. 울창한 숲과 기름진 땅 그리고 넘치는 푸른 바다로 숱한 생물을 키우고 가꿔오던 지구는 인류라는 종(種)의 무모한 생활양식 때문에 마침내 생물이 살기 어려운 행성의 하나로 전락되어 버릴지 모른다.6천만년 전 공룡이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