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생존전략도 흥미롭다. 남극 세종과학기지에서 지내며 남극의 생태계를 연구한 저자들이 직접 찍은 사진도 눈을 즐겁게 한다. ●‘SF 덕후’를 위한 백과사전SF 거장과 걸작의 연대기김보영·박상준·심완선 지음 | 돌베개374쪽 | 1만950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인간을 지배하는 세상은 오지 않을 것 같습니다. 김희수: 제 생각도 같아요. 로봇이 직접 인간을 노예로 만드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 같아요. 인간에게 로봇이 유용한 도구이듯 로봇에게 인간도 유용한 존재여서 인간을 해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로봇이 인간을 보호 목적으로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또 어떤 사람인지 알기에 가장 좋은 장소는 당연히 그 사람의 실험실이다. 실험 장비를 직접 한 번 보는 것이 백 마디의 설명보다 빠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보통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실험실을 소개하는 걸 기꺼이 환영하지만, 아주 가끔 여러 이유로 실험실을 방문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처음 읽은 뒤 물리학을 포함해 과학 전반을 더 깊이 알고 싶어졌다. 부모님을 직접 설득했고, 그때부터 과학동아를 읽기 시작했다. 과학동아를 보면서 과학을 더 깊이 알아갈 수 있었다. 초등학교 때부터 꾸준히 읽었던 과학동아는 나의 과학적 호기심을 해결해 줬다. 돌이켜 보면 과학에 대한 이런 ... ...
- 엑소가 알고 보니 이세돌이었다고? 그래프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존재한다는 사실은 이미 다수의 음반 관계자들에 의해 공공연히 지적돼 왔으나, 직접 사재기 제안을 받거나 실제 사례를 목격하지 않은 일반 대중도 사재기 의혹 가수를 추론하기 시작한 것은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이 곡의 순위뿐 아니라 실시간 이용량 변화 그래프를 함께 서비스하면서부터다 ... ...
- 작은 세계에선 나지! 마이크로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노폐물로 막힌 혈관을 뚫는 치료 등을 할 때 허벅지를 통해 혈관으로 직접 삽입하는 의료용 줄이에요. 여기에 붙은 로봇은 자석을 몸에 지니고 있어 외부에서 자기력을 주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지요.현재 의사는 X선으로 환자 몸속을 촬영해 와이어를 확인하며 손 감각으로 이동시켜요.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ZZ)를 확인할 수도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몸 크기 측정이나 유전자 분석은 펭귄을 직접 포획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다만 짝짓기 상황을 목격한다면 위에 있는 개체가 수컷, 아래에 있는 개체가 암컷”이라고 설명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펭수가 혈액이나 모근이 달린 깃털을 제공해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미국의 대표적인 대체육류 생산업체인 비욘드미트(Beyond Meat)는 2009년 설립 당시 세계 최고 부자였던 빌 게이츠와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등 유명 할리우드 배우들이 투자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채식 열풍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도 이때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요. 최근 비욘드미트는 2020년까지 아시 ... ...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한번 긱블 크루가 모였습니다. 이번에는 진짜 치킨 닭다리를 장전하고, 허니콤보 소스도 직접 만들어 주입했습니다. 다시 한번 카운트다운.“4, 3, 2, 1, 발사!”“슈욱~, 툭!”온전한 치킨 닭다리에 허니콤보 소스가 적당히 묻어 나왔습니다. 소스도 새어 나오지 않고 깔끔했습니다. 대성공이었습니다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낮춘 녹다운(knockdown) 쥐를 사용한다. 고 교수팀은 이런 쥐들을 직접 제작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시냅스 접착 단백질의 경우 생명 유지나 뇌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 단백질을 완전히 없앤 녹아웃 쥐들의 경우 생존조차 어려워 연구에 활용하기가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