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적
제명
배제
예외
특례
배타
배척
d라이브러리
"
제외
"(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1958년 38살의 젊은 나이에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이로 인해 노벨상 후보에서
제외
됐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중나선’에서 왓슨은 프랭클린을 고집불통이고 비사교적인 성격불량자로 그리고 있다. 그러나 그 후 왓슨은 책 ‘후기’에서 프랭클린에 대한 자신의 선입견이 적절치 못했다고 ... ...
1. 인간 유전자는 몇개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EST 데이터베이스(dbEST)에 등록된 총 EST 수는 약 1백60만 건에 이르고 있으며, 중복된 것을
제외
하고 대표성 있는 EST를 분류하면 약 12만개에 이른다. 따라서 EST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인간 유전자 수를 약 12만개 정도로 예측하고 있다.인간 유전자 4만개도 안된다?그런데 게놈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 ...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던지는 법적 쟁점8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차별을 초래할 수 있다. 유전적 검사의 결과를 보험계약체결시 고지의무의 대상에서
제외
시켜 유전적인 차별을 금지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3.고용개인의 유전자정보는 고용기회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근로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이미 걸려 있는 질병이 아니라 질병에 걸릴 ... ...
윈도 vs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비싸다는 것이다. 실제 안정성과 보안성이 비슷한 리눅스는 무료인데 비해, 몇가지를
제외
하고는 성능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는 윈도는 몇십만원이나 된다. 윈도가 독점체제이기 때문에 높게 가격을 선정하더라도 선택의 여지나 다른 대안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따라서 일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사람과 침팬지의 유전자 DNA 염기서열 차이는 1.5% 정도로 아주 낮다. 반면 유전자 DNA를
제외
하면 그 차이가 3%로 더 늘어난다. 그렇다면 유전자 DNA를 뺀 나머지 게놈 대부분이 반복체이므로, 이 차이가 사람과 침팬지를 다르게 만든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지금까지 생물학자들은 이제껏 DNA에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통해서도 정보를 교환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북한에는 아직 인터넷이 특정기관을
제외
하고 보급돼 있지 않다. 더구나 북한에 인터넷을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돼 있다고 해도 남한과 북한의 한글코드가 맞지 않아서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컴퓨터에서 한글을 사용할 때 일단 기계적인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상상한다. 그러나 천문대 사람들도 아침에 출근해서 저녁에 퇴근한다. 단 관측하는 날은
제외
하고.보현산 천문대의 연구원들을 만나고 나서 한가지 아쉬움이 있다. 우리나라의 여건상 천문대의 업무가 제대로 분할돼 있지 않은 점이다. 아무리 연구원들이 다재다능한 맥가이버라 할지라도 ... ...
한국의 공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자국이 나타난다는 점이 특이하다. 발자국의 평균 폭은 6.26cm이고 첫번째 발가락을
제외
한 길이는 4.86cm이다.이들 새발자국 화석은 기존에 알려진 중생대의 새발자국과는 달리 물갈퀴를 가졌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들은 기존에 알려진 화석보다 4천만년 정도 오래된 물갈퀴새 발자국이다. 과거에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색깔을 주위 환경과 비슷하게 해 적을 속이거나, 독을 가지고 있어 아예 식단에서
제외
하게 만들기도 한다.그런데 ‘나 여기 있소’하고 대놓고 울어대는 곤충도 있다. 바로 매미가 그렇다. 물론 매미도 날개가 있으므로 위험할 땐 재빨리 날아간다. 하지만 짝짓기 때면 암컷을 만나기 위해 위험도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소행성이나 혜성의 탐색은 천문학자의 주요 연구 영역에서
제외
돼 있었다. 허블망원경으로 상징되는 먼 외계은하의 관측과 우주론 연구가 대형 천문대의 주요한 관심사였다. 그래서 혜성 찾기는 상대적으로 아마추어 관측자들이 큰 업적을 남길 수 있는 영역이었다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