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의"(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성공한 ‘물고기 덕후’ 과학자가 지느러미 가시와 육상 네발동물 손뼈의 기원을 밝혔다. 최신 생명과학 기술인 크리스퍼를 이용해서다. 지느러미와 손이 같은 유전자에서 기원했다는 게 핵심이다. 원시 어류 일부가 진화해 육상 동물이 됐다는 진화 시나리오는 한층 힘을 얻었다. 닐 슈빈(위 ...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지난 4월 2일, 전국 599팀, 2306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맞이한 4기 지구사랑탐사대의 공식 활동이 시작됐어요. 바로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홀에서 열린 발대식이었지요. 이날 참석한 600여 명의 대원들은 축제처럼 즐겁게 지사탐 활동에 대해 배우고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는 시간을 가졌어요. 4기 발 ...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과학동아 l2016년 08호
- 7월 6일 미국의 게임 개발사 나이언틱과 일본의 게임업체 닌텐도사가 공동 출시한 ‘포켓몬 고(Pokemon Go)’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은 아직까지 정식 출시지역이 아니지만 속초, 양구 등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게임을할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포켓몬스터 ‘덕후’들이 강원도로 몰리고 있다.포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김치콘’은 보안과 해킹을 주제로 하는 학회로 2015년 시작됐다. 올해는 7월 1~2일 대전 KAIST에서 열렸다. 이름부터 ‘B급’ 냄새가 물씬 풍기는 이 학회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참가자들이 목에 걸고 있는 배지다. 기판에 디스플레이 화면과 조이스틱까지 달린 배지로, 게임도 하고 공지사항도 전 ...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화성보다 모른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극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그래도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건 국경을 넘어선 과학자들 간의 협력 덕분이었다. 지난 5월 10~11일에는 ‘제22차 국제극지과학 심포지엄’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열렸다. 심포지엄에는 미국과 캐나다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올림픽 축구 대표팀은 7월 19일(현지시간)오후에 브라질에 입성했다. 개회식 전에 예선경기가 있기 때문에 다른 종목선수들보다 조금 먼저 도착해 적응훈련을 시작했다.]아나운서 구그미 안녕하세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선수촌 이모저모’의 아나운서 구그미입니다. 오늘은 첫 시간으로 원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깨끗한 물을 얻기 힘든 사람들이 안심하고 물을 마실 수 있게 하려면? 먼저 기술 발전을 이룬 나라가 노하우를 전해주면 어떨까. 이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유엔개발계획(UNDP)이 공동 주최한 ‘한-UNDP 협력사업’이 시작됐다. 6월 29일과 30일 태국 방콕에 위치한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오래된 문서를 보면 당시 사람들이 무엇에 관심이 있었고, 또 어떤 것을 연구했는지 알 수 있다. 언어학자들은 오래된 문서에서 색깔을 나타내는 단어에 주목했다. 역사적으로 가장 먼저 나타난 색깔은 검정과 하양이다. 각각 다른 색깔을 인지하고 이름을 붙이기에 앞서 깜깜한 밤과 환한 낮을 구 ... ...
- [과학동아] 국제비만연구협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계절, 여름이다. ‘운동하고 물을 마시면 살이 찐다더라’, ‘파란색을 보면 식욕이 떨어진다더라’와 같은 ‘카더라’는 그만하고 정확한 연구결과에 주목해보자. 국제비만연구협회지는 1997년 처음으로 발간돼, 올해로 20주년을 맞았다(비만에 대한 사람들의 고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6월 24일, 유럽연합(EU)에서 영국이 탈퇴하는 이른바 ‘브렉시트(Brexit)’에 대한 찬성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 결과가 발표됐다. 결과는 52%대 48%, 탈퇴파의 승리였다. 당연히 잔류할 것이라는 많은 이들의 예측을 벗어난 결과였다. 투표 결과가 발표된 뒤 주식시장은 출렁였고, 경제학자를 시작으로 많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