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7년 발사돼 목성과 토성, 천왕성과 해왕성을 차례로 통과했다. 현재는 태양권의 가장 바깥자리에서 천천히 움직이고 있다. 지구로부터 161억3840만km 거리에 있어 보이저 1호 다음으로 멀리 떨어져 있다. 예상 수명(1997년)을 훨씬 넘겼으나 2030년까지는 지구와 통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앞으로 남은 ...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포착하기 위해 얼마나 형제를 따라다녔을까.[다랑논은 산골짜기의 비탈진 곳에 층층으로 자리한 좁고 긴 논을 말한다. 우리나라에도 간혹 볼 수 있지만,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다랑논은 중국 윈난성 원양현에 있는 훙허하니 족의 다랑논이다. 그들은 강둑 위에서부터 높은 산까지 무려 3000층에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렇게 저장되는 값을 ‘해시’라고 한다.실제로는 100처럼 단순한 수가 아니라 128자리, 256자리, 512자리 등 훨씬 더 큰 수를 사용한다. 여기서 나누는 수를 정해놓지 않고 무작위로 만든 값을 사용하면 훨씬 더 복잡한 암호화가 가능하다. 그래서 사용자가 생체정보를 스캔할 때마다 시스템은 매번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골라 입력하는 방법까지 배우고 이 날 게임카페는 마무리됐어요.수업이 끝난 뒤에도 자리를 떠나지 않는 학생이 많았어요. 게임을 저장해서 가져가도 되는지는 물론, 게임 샐러드 프로그램에 대한 질문도 넘쳐났지요. 오 교수님은 학생들의 아쉬운 마음을 읽었다는 듯, 세 번째 수업에서는 더 멋진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러한 장점으로 브릭은 시간이 갈수록 아이는 물론 어른도 관심을 보이는 분야로 자리매김했다.사람보다 다양한 인형브릭은 종종 건물이나 문화 유적, 유명한 영화 속에 등장하는 거리나 인물을 재현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각 나라를 대표하는 유명 관광지는 대부분 브릭 모형이 있을 정도다 ...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나타내는 값이 2배가 된다. 첫째 자리는 1(=20), 둘째 자리는 2(=21), 셋째 자리는 4(=22)의 자리다. 예를 들어 5는 1×22+0×21+1×20이므로 이진수로 나타내면 101(2)이 된다.] 수학을 즐기고 있나요?영화에는 수학에 재능이 있는 사람이 여럿 나온다. 하지만 모두가 수학 분야에서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수학을 잘 모르거나 잊고 살아온 사람이라면 엄두도 못 낼 일이다. 그런데도 회원들은 그 자리에서 이 교수에게 직접 가르쳐 달라고 간절히 요청했다. “혹시 다음 달부터 바로 수학 공부를 시작할 수 있나요?” 자연의 언어, 수학일반인을 대상으로 일반상대성이론을 쉽고 재미있게 쓴 ...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숫자 는 6.02214129 × 1023개(잠정)다. 그동안 사용해온 숫자와 비교하면 소수점 7, 8번째 자리가 정확해졌다. 그만큼 세계 곳곳의 실험실에서 나온 몰 단위의 신뢰도가 높아진 것이다. 더구나 2018년이 되면 화학 시간에 아보가드로의 수나 1몰을 얘기하면서 탄소 12g 이야기를 할 필요가 없게 됐다. 1몰은 ...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실제 시장에 반영됐다. 앨빈 로스 교수는 병원들이 의대 졸업생들에게 레지던트 자리를 제안하는 방식이 잠정 수락 알고리듬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2003년에는 고등학교에 학생을 배정하는 데 잠정 수락 알고리듬을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2004년에는 말기 신장병 환자들이 신장을 교환하는 문제도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천문학은 더욱 발전할 것이고, 그에 따른 과학기술 역시 제자리에 멈춰 서 있지는 않을 것이다. 언젠가 아주 먼 미래엔 인류가 ‘제2의 지구’ 땅을 밟게 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