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네. 지금까지 제1형 당뇨병을 앓고 있는 원숭이 8마리에게 돼지의 췌도를 이식하는 실험을 진행해 성공했어요. 이 결과를 바탕으로 2019년엔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싶어요. 그런데 아직 우리나라에는 이종장기 이식에 관련된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아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규정을 논의한 뒤, ... ...
- [과학뉴스] 바이러스로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높여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종양으로 바뀌었다. 김 교수는 “바이러스와 면역관문억제제(PD-1, CTLA-4)를 함께 투여한 실험군 일부에서는 종양이 완전히 사라졌다”며 “현재 항암바이러스와 면역관문억제제를 병용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doi:10.1158/1078-0432.CCR-18-193 ... ...
- [이달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효율은 어떨까. 김재곤 한국석유관리원 석유기술연구소 석유대체연료팀 책임연구원은 “실험 결과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총 *발열량은 2017년 평균 9439kcal/kg으로, 1만630kcal/kg인 벙커C유 총 발열량과 비교하면 88%정도 된다”고 말했다.*발열량 : 연료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준. 질량 1kg의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반동 추진 엔진의 설계를 최적화 시키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더 큰 규모의 실험을 수행했다. 프로펠러 없이 날다 일부 기초 물리학은 매우 복잡하지만, 전기항공역학 추진 시스템의 물리학은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우선 우리는 리튬폴리머 전지로 이뤄진 전력 변환기로부터 +2만V로 충전된 가는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1, 2학년 때는 서울특별시 과학전시관에서 운영하는 영재원에 참여해 수업을 듣고, 실험을 진행해 논문도 썼다. 박 씨는 “일반고 학생들이 누릴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추천했다. 특별한 공부 비법이 있었냐는 질문에 박 씨는 “공부하기 싫을 때, 열심히 놀 생각을 하면서 공부를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그림을 그렸던 프랑스 화가 폴 세잔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기하학적인 도형들로 여러 실험을 합니다. 그런데 이 시기에 피카소 그림은 좀 독특합니다. ‘무용’이라는 작품을 보면 이목구비가 심하게 왜곡돼 있지요. 오른쪽 눈은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것 같은데, 왼쪽 눈은 또 옆을 바라보고 ... ...
- Intro. 달 착륙 50주년 기념 출발! 은하수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치직, 치직…. 안녕하십니까. 여러분의 여행을 책임질 우주 함장 ‘캡틴 스트레인지’입니다. 이 우주선은 지구에서 출발해 달을 거쳐 태양계를 지나 우리은하까지 향할 예정입니다.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그럼, 우주선 출발합니다~!” Intro. ...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보름달의 8배 정도 밝기의 빛을 청두시로 보내지요. 1990년대 러시아에서도 비슷한 실험을 2~3회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갔답니다. *정지 궤도 : 위성의 공전 주기와 지구의 자전 주기가 같아서 지구에서 봤을 때 위성이 항상 같은 자리에 머무는 것처럼 보아는 궤도. 일부 과학자들은 인공 ... ...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제 우리는 태양계 바깥으로 나갈 예정입니다. 어마어마하게 멀리 왔지요? 그런데 이곳에서도 인류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답니다! 여기 어디에 뉴 호라이즌스호와 보이저호가 있을 텐데…. 아, 저기 있네요!” 더 멀리! 태양계를 벗어난 위성 인류가 가장 먼 곳까지 보낸 우주 탐사선은 무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확인할까? 1866년 오스트리아 유전학자인 그레고어 멘델이 완두콩의 형질 유전에 관한 실험으로 ‘멘델의 유전법칙’을 발표하면서 인류는 최초로 유전에 대해 알게 됐습니다. 하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어떤 물질이 유전되는 것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이후 1944년 미국 세균학자인 오즈월드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