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신병은 어떻게 치료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뿐 아니라 환상이나 환청, 망상 같은 증상도 개선시켰다. 많은 환자가 이 덕분에 정신
병원
에서 퇴원해 사회로 복귀할 수 있었다.01 정상인의 경우. 이전 뉴런에서 분비한 세로토닌(파란색 공 모양)이 다음 뉴런으로 전달된다(노란색 화살표 방향). 이 중 일부는 다시 이전 뉴런으로 되돌아간다(연두색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제미닌 단백질이 이 같은 문제를 막아준다.포항방사광가속기는 거대한 빛공장대학이나
병원
의 웬만한 실험실에는 X선 발생기가 있다. 그런데 왜 포항방사광가속기처럼 큰 것이 필요할까. 오병하 교수는 “가속기에서 나온 X선이 훨씬 강한데다 파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실험을 훨씬 쉽고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내 감염과
병원
에서 의사 등 종업원이나 환자가 약재 내성균(耐性菌) 등에 감염되는
병원
내 감염이 문제가 된다 두 단결정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괴상(塊狀) 결정체 다결정체(多結晶體)세라믹스 재료의 물질적 성질은 그것을 구성하는 결정의 성질 외에 결정간 입계의 성질에 영향을 받는 수가 ... ...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없이 난치병을 치료하기까지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이런 상황에서 줄기세포 치료 전문
병원
설립 얘기까지 나오는 것은 너무 ‘앞서가고’ 있는 느낌이다.최초로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해낸 황 교수의 연구는 분명 세계가 인정한 성과다. 그러나 연구성과를 ‘인정’하는 것과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인구인 30만 인구가 살게 된다. 이 건물은 도시에서 10km 떨어진 인공섬에 건설되며 시청과
병원
, 학교는 물론 웬만한 오락·쇼핑 시설이 모두 들어서는 것으로 구상됐다. 휴가나 출장, 여행을 가지 않는 한 건물 안에서 모든 삶이 이뤄진다. 이 빌딩은 서로 높이가 다른 4개의 초고층 빌딩이 연합한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유럽에서는 ‘B형 남자’가 살기 어려운 어떤 원인이 있었을지도 모른다.현대아산
병원
혈액은행에 따르면 한국인 중 가장 많은 A형은 위암과 관상동맥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다른 혈액형보다 다소 높고 O형은 십이지장궤양에 더 잘 걸린다. 왜 혈액형에 따라 잘 걸리는 병이 있는 걸까. 정확하게 ... ...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국립약물중독연구소(NIDA)는 약물 중독 치료 원칙을 발표했다. 자의든 타의든 중독자를
병원
에 입원시키는 등 적정 기간 동안 치료가 가능한 환경에 두고, 행동요법과 약물요법을 병행하면서 환자의 신체적 증상뿐만 아니라 정신적 증상도 함께 치료해야 한다는 내용이다.개인의 건강과 행복뿐만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느낄 뿐이며 우리는 냄새를 통해 다른 다양한 맛을 느끼는 것이다. 맛을 잘 느끼지 못해
병원
에 오는 사람들 가운데 90%는 후각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다.올해의 노벨생리의학상은 이처럼 중요하면서도 과학계에서는 연구가 뒤쳐져 ‘잊혀진 감각’으로 불렸던 후각 메커니즘을 연구한 공로로 미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짠 염분에서도 작용한다. 더 놀라운 것은 아라자임이 단백질 분해 기능 외에도 여러가지
병원
성 미생물에 대해 높은 항생, 항균능력이 있다는 사실이다.이미 세계적으로 수많은 종류의 단백질분해효소가 보고돼 있고 이미 여러 다국적기업이 전세계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위원회가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했다. 캐나다 보건복지부는 이 균을 사용금지까지 했다.
병원
성 균과 구별하기 어렵고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일으키기 때문.또 우리나라의 경우 유산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기보다 외국에서 수입한 유산균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그런데 외국 제품을 분석해보면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