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흠뻑 빠진 미래 세대의 주인공들이 대한민국의 특별한 곤충에 관심을 갖고 관찰하여 기록한다면 한국의 파브르도 분명히 등장하지 않을까. 파브르가 신비로운 프랑스 곤충을 알렸던 것처럼 우리나라의 신기한 곤충을 널리 알리는 최고의 대한민국 곤충학자들이 많이 등장하길 기대해본다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10cm길이의 선에 한쪽 끝은 통증 없음, 다른 한 쪽은 상상 가능한 가장 심한 고통을 기록하게 한다. 주로 신체 통증에 사용하지만 심리적 고통을 측정하는 데도 사용한다.우리나라에서는 이렇게 랩을 이용해 치료하는 경우가 많지는 않다. 하지만 미국이나 유럽권에는 랩 음악치료 전문가가 있을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참고 견디면서 그대들을 관찰하고 있는지를, 그리고 얼마나 양심적으로 너희 행동을 기록하고 있는지를 말해 주렴. 그대들의 증언은 만장일치일 것이다(‘파브르 곤충기’ 중).”▼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 ...
- [손바닥 인터뷰] “북극 카라해가 더워지면 한국에 한파 와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감시하면 1~2주 뒤 동아시아와 북미에 나타날 한파를 예측할 수 있다.Q 2014년 2월 북미에 기록적인 한파가 왔을 때는 북극 해빙이 두껍다고 발표됐다. 그런데 이번 논문에는 척치해가 따뜻할 때 북미에 한파가 온다고 했다.국종성 교수 이번 연구는 북극의 바렌츠-카라해와 동시베리아-척치해가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129개로 거의 2배가 증가했다. 팀장타율 역시 2000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4할 이상을 기록했다.하지만 LG의 순위는 겨우 한 단계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먼저 홈런과 장타율이 급증한 것은 LG타자들뿐만이 아니었다. 2009년은 프로야구 역사상 손에 꼽힐 정도로 타자에게 유리한 ...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꿀꺽 넘어가는 김치찌개를 만든 것도 이런 문화의 연장선에 있다(김치찌개가 처음 나온 기록은 1900년대 초반 동아일보다).점점 싱거워지는 ‘파는 김치’김치는 다른 발효음식 즉 치즈나 요거트, 와인과 어떻게 다른 걸까. 박 본부장은 김치 안에 들어 있는 몸에 좋은 유산균의 종류가 훨씬 많다는 ...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비슷한 연못이 또 있답니다. 이 연못은 동성왕 때 ‘연못을 파고 진기한 새를 길렀다’는 기록이 에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조경용으로 만든 것 같습니다. 공산성을 둘러보면서 서로 다른 모양의 두 연못을 찾아 보세요!백제의 숨결을 따라 사비도성으로~ 이제 공주를 떠나 사비도성이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사람들은 거주 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 개조운동을 시작했다. 1853년 살인적인 인구밀도를 기록하던 바르셀로나에서는 기존 성벽을 헐어버리는 ‘에이샴플라(L'Eixample, 카탈루냐어로 ‘확장’을 뜻한다)’라는 이름의 도시 계획 공모전이 열렸다. 최종적으로 채택된 건 일데폰소 세르다(1815~1876년)라는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윤달의 오차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결국 시헌력이 시행되긴 했지만, 반대세력에 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인조 26년, 2월 27일)에도 남아있다. ‘그 역법(시헌력)은 우리나라의 것과 같지 않은 것으로 곧 서양에서 새로 만든 것이었는데, 절기에 조금 앞서거나 뒤진 것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3월을 ...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들은 화이트 와인은 물론이고 레드 와인을 마실 때도 설탕을 넣어 먹습니다”라는 기록이 있을 정도다. 소금 농도도 높았는데 이는 바닷물이 스며든 것이 아니라 유통 기한을 늘리기 위해 넣었기 때문이었다.이 와인은 2011년 경매에서 한 병에 3만 유로(한화 3800만 원)에 팔렸다. 이렇게 비싼 가격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