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97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중에 뜬 '지구본', 알고 보니 '허공 속에 구슬로 그린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폴리스티렌) 구슬을 공중에서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 MATD 기술로 만든 움직이는 고리
모양
영상에 손을 뻗고 있다. 초음파를 이용해 저항감도 느껴지고 소리도 나게 했다. 네이처 동영상 캡쳐 연구팀의 실험영상. 사진으로 볼 때보다 훨씬 정교한 움직임을 보인다. 서섹스대 제공 연구팀의 실험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마침 메디치 가문의 형제가 넷인 것에 착안한 이름이었다. 갈릴레오는 전자를 선호했던
모양
이다. 그러나 대공 비서의 제안을 따라 후자로 최종결정했다고 한다. 1610년 3월 갈릴레오는 그때까지 자신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들을 정리해서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라는 책자로 발간했다. ... ...
스페이스X, 로켓 재활용 새 이정표…위성 무더기 발사에 천문학계 갈등 커져
2019.11.12
데 성공했다. 오늘 발사로 4번째 사용에 성공했다. 스페이스X는 로켓의 머리 부분에 코
모양
처럼 달려 ‘노즈콘’으로도 불리는 페어링도 처음으로 재사용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 4월 발사 이후 대서양에 떨어진 페어링을 다시 활용했다. 페어링은 한번 만드는 데 전체 발사체 비용의 10%인 약 600만 ... ...
"휘고 구기고 빨아도 오케이" 투명 전자소자 대량 생산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높일 수 있다. 기존에는 반도체에 패턴을 만드는 공정인 포토리소그래피나 도장
모양
의 스탬프를 이용해 패턴을 옮기거나 레이저를 이용해 가공하는 방법을 이용했지만, 공정이 복잡하고 넓은 면적을 제작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짧은 시간 동안 1초에 최대 수백~수천cm2 넓이의 넓은 ... ...
전국과학전람회 대통령상에 울산 학성고 김성윤·이경하·이창운 군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영역을 복합적으로 측정하고 관계성을 학습할 수 있는 장치다. 회전하는 물체의 크기나
모양
에 따라 운동 주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자기장의 크기나 유저전류의 세기 등과는 어떤 관계인지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있다. 12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 과기정통부 기자실에서 '제65회 ... ...
보행자 인식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볼라드 시스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인도를 걷거나 자동차를 운전하다가 누구나 한번쯤은 기둥
모양
의 철재 혹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볼라드를 마주한다. 볼라드는 보행자용 도로나 잔디에 자동차의 진입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로, 보행자의 안전을 지켜준다. 미국 등 외국에서는 건물을 향해 ... ...
생체 분자로 양자역학 '파동-입자 이중성'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두 슬릿 뒤에만 패턴이 형성된다. 위키미디어 제공 연구팀은 그라미시딘 분자를 바퀴
모양
의 탄소 소재 부품 표면에 얇게 발랐다. 그 뒤 탄소 소재 바퀴를 회전시키면서 분자가 코팅된 표면에 자외선 영역인 343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파장의 레이저를 10조 분의 3초(290펨토초)씩 짧게 충돌시켜 ... ...
수명 늘고 안전성 확보한 ‘리튬 황 전지’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리튬-황 전지를 만드는 데 ‘단계적 프린팅 공정’을 적용했다. 원하는 위치에 다양한
모양
의 전지를 직접 제조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굴곡이 있는 평면 구조인 비행기 날개 위에 알파벳 형상의 리튬-황 전지를 제조해 성능을 테스트했다. 이상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용량, 고안전성 ... ...
스트레스가 다재다능한 그래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단면(표면)의 결정구조가 다를 수 있다. 수박을 가로로 잘랐을 때와 세로로 잘랐을 때
모양
이 다른 것과 비슷하다. 연구팀은 구리 001과 110, 111 등 결정구조가 다른 세 종류의 구리 기판 위에서 그래핀을 합성했다. 그 결과 구리 111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이 가장 균일하고 빨랐다. 구리 111의 ... ...
시각장애인도 갸우뚱? 표준 없어 읽지 못하는 '제멋대로 점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점의 위치에 따라 글자가 결정되기 때문에 점자는 다른 언어와 다르게 ‘크기’와 ‘
모양
’이 중요하다. 글자는 작게 쓰나 크게 쓰나 글씨체를 바꾸나 이를 읽는 데 무리가 없다. 반면 점자는 손가락 끝의 감각에 의지해 읽어야 해 손가락 끝에 들어오는 일정한 크기가 필수다. 또 점자는 반구형으로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