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고캐고 지질학자] 끙끙! 지질학자는 지금 동굴 탐험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심해 퇴적물을 조사하기도 해요. 높은 산을 오르거나 바닷속으로 다이빙도 하고요. 제가 지금 깊은 동굴을 탐험하는 이유, 이제 아시겠나요? 지질학자는 보물 탐험가? 지질학자는 지구의 역사를 알아내는 과학자이기도 하지만, 인류에게 소중한 선물을 찾아내기도 합니다. 교통수단을 움직이는 ...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완벽한 혼돈은 가능할까요? 크고 무질서한 구조 속에서 작은 조화로운 부분을 항상 찾을 수 있는지 연구하는 분야를 ‘램지 이론’이라고 합니다. ... R(3,t)와 같이 두 변수 중 하나를 고정해 램지 수를 구했습니다. 많은 수학자의 노력으로 지금까지 밝혀진 램지 수는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분석해 95개의 새로운 갈색왜성 후보 중 75개의 갈색왜성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백야드월드 프로젝트에 참여한 시민과학자는 10만 명으로, 이들이 발견한 천체는 1500개가 넘는다. doi: 10.3847/1538-4357/aba633 연구에 참여한 아마추어 천문학자 레슬리 햄릿은 “저자로 참여한 첫 번째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우리가 상상하지 못한 기계가 등장하는 데 보탬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지금은 일단 저 자신의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는 재밌는 연구를 계속하는 것이 목표”라며 웃었다. 두 분야 접목해 새 영역 창조하는 뇌기계지능 연구실 머신러닝 중 하나인 딥러닝은 사람의 뇌의 정보처리 ... ...
- [특집] 취향저격수가 되는 첫걸음 ‘벡터’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그 중에서도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벡터’라는 수학 개념이지. 무슨 얘기냐고? 지금부터 알려줄게! 온라인 쇼핑몰의 추천 AI는 사용자의 나이와 성별, 그리고 과거 구매 또는 시청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좋아할 만한 새로운 상품을 추천합니다.수학동아와 어린이과학동아, 과학동아 잡지를 예로 ... ...
- [매스크래프트] #13. 보신각 종을 꼭 닮은 통계학의 핵인싸 정규분포!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그러려면 오차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라야 한다고 판단했어요. 가우스의 이 판단은 지금까지도 옳다고 여겨지며 자연과학뿐 아니라 사회학, 심리학에서도 실험할 때 생기는 오차의 분포를 정규분포로 가정해요. 정규분포를 따르는 또 다른 사례도 살펴볼게요. 주위를 보면 성인 남성의 키는 19 ... ...
- [기획] 백신의 효능이 궁금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효능’이라고 불러. 뉴스에서 백신의 효능이 94%, 95%라고 말하는 걸 들어봤을 거야. 지금부터 이 수치가 어떻게 나왔는지 알려줄게. 백신을 개발할 때는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비임상시험을 한 후에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합니다. 두 시험에서 백신의 효능을 계산하는 법은 다릅니다. ...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고속도로에서 자동차 시스템이 알아서 운전하는 3단계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됩니다. 지금 나오는 2단계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할 뿐 직접 운전하지 않는데, 3단계에서는 직접 주행하기 때문에 주변을 인식하는 센서 기술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센서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여러분이 수학자가 되고 싶다면 다양한 분야에 열린 마음으로 관심을 가지면 좋겠어요. 지금 관심이 가는 분야를 즐겁게 공부하되, ‘나는 이것만 할 거야’라는 마음으로 한계를 두지 않기를 바라요.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일이거든요. 파스칼 영재고에 진학하는데, 수학 외에 영어 같은 과목은 ... ...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종합한 결과예요. 2013년, 초등학교 5학년이 되면서 지사탐 1기로 활동을 시작했는데, 지금은 고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있어요. 8년간 저희가 올린 탐사 기록만 해도 1만 건이 넘더라고요. 처음엔 생물에 대해 아는 것이 전혀 없었는데, 매년 탐사를 하면서 탐사 실력이 늘었죠. 지사탐 활동으로 양질의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