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d라이브러리
"
작동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불러도 잘 듣지 못한다. 공포를 느낄 때 뇌가 마치 수면상태처럼 의식을 차단하는 쪽으로
작동
하기 때문이다. 다른 데 신경 쓸 겨를이 없어지는 것. 이때 의식이 너무 많이 차단되면 기절하고 만다. KAIST 김대수 교수는 “공포를 느끼고 기절하는 메커니즘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 ...
패션70s VS 패션00s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그린 디자인을 스캔해 파일로 만든다. 디지털 염색 프린터에 원단을 넣고 파일을 보내
작동
시키면 원단에 그 디자인이 고스란히 찍혀 나온다.재래식 염색공정은 화학염료를 배합해 필요한 색을 만들고 원단에 입힌 다음 열처리와 건조 등 많은 단계를 거쳤다. 때문에 주문받은 디자인을 제품으로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센서에 문제가 발견되자 NASA는 5분간 회의 끝에 발사를 연기했다. 센서 4개가 모두
작동
하지 않는 경우 결코 우주선을 발사하지 않는다는 기본 입장을 고수한 것.NASA는 다음 발사 예정일을 이르면 7월 31일 이전으로 잡고 센서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온 힘을 쏟고 있다. 이 때까지 해결되지 않을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8889km까지 접근해 사진을 찍었지만 사진은 뿌옇기만 했다. 베가 2호는 먼지에 부딪쳐
작동
이 중단됐다. 2002년에는 NASA의 혜성탐사선 콘투어가 혜성을 향해 가다 궤도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폭발하기도 했다.그러나 태양계의 기원을 알고 싶은 인류는 계속 혜성 탐사에 도전했다. 2001년에는 NASA 탐사선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해결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바닷가재 로봇은 로봇 물고기에 비해 비교적 제작이 쉽고
작동
이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바닥을 탐사하는 데도 매우 효과적이다.넙치처럼 몸이 납작한 로봇 물고기도 있다. 이런 모양의 로봇 물고기는 물속에서 해류나 조류의 흐름을 따라 미끄러지듯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 ...
사하라 사막 지킴이 '모래아리 까끄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안으로 넣는다. 그럼 간단히 휘발유를 빼낼 수 있겠지?두 번째 문제의 답두 모래시계를
작동
시키고 7분짜리 모래시계가 다 되면, 그때부터 물을 뜨기 시작한다. 12분짜리 모래시계가 다 되면, 다시 한 번 뒤집어 12분짜리 모래시계가 다 될 때까지 물을 뜬다. 세 번째 문제의 답정답은 3번. 낙타의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낮 동안 전력을 생성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궤도에서 아리랑 2호가 제대로
작동
한다고 해도 지구에서 2호가 어디 있는지 교신할 수 없거나 2호가 촬영한 영상이나 기타 데이터를 전송받지 못한다면 위성을 발사한 의미가 없다. 이 때문에 아리랑 2호에는 위성과 지상 관제국 사이에서 ... ...
레고 마인드스톰을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마인드스톰에서 브릭으로 로봇 뼈대를 만들고, 프로그램을 작성해
작동
시키는 과정은 공학자들이 실제로 로봇을 개발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앞으로 마인드스톰은 로봇공학의 기본 개념을 배우려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어릴 때부터 기계와 컴퓨터의 원리에 친숙해지는데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흐름 속에서 안개 상태의 액체수소를 태워 추진력을 얻는다 이 엔진은 초음속에서만
작동
하며, 현재 개발중소프트웨어의 개발 보수 신뢰성 등을 공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중요연구분야로는 프로그램개발의 표준화, 잘못된 프로그램의 자동체크, 기밀보호방식의 개발 등이다 소프트웨어가 대형화 ... ...
구름 위에서 즐기는 웹서핑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금까지 비행기 안에서는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운항 시스템의
작동
을 방해할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휴대전화 사용이 불가능했지만 최근 출시되는 휴대전화는 예전에 비해 전자파를 적게 방출한다. 지난해 12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담당관들은 휴대전화의 전자파 방출을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