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세계"(으)로 총 6,7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짠 음식은 요즘 동네북이다. 고혈압에 심혈관 질환까지 마치 ‘만병의 근원’인 듯 하다. 아예 짠 음식을 먹지 않고 살 수는 없을까. 우리의 혀는 달달한 설탕에도 끌리지만 짭짤한 감자칩의 유혹에도 쉽게 무너진다. 도대체 우리는 왜 짠맛에 빠지는 걸까.코끼리와 나비도 미치게 하는 나트륨의 맛 ...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제목이 이상하다. 쉬운 일을 어렵게 한다? 이 복잡하고 힘든 세상, 어려운 일을 쉽게, 더 쉽게 해도 모자랄 판에 왜 어렵게 한다는 말인가. 하지만 일단 해보면 헤어나올 수 없는 ‘느림’의 미학이 있는 분야가 있다. ‘쓸데없는 고퀄’이 미덕으로 칭송 받고, 복잡하고 엉뚱할수록 찬사를 받는 기계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내 이름은 니콜라 테슬라, 지금 자네들이 쓰는 ‘교류 발전기’를 발명해 ‘전기의 아버지’로 불리는 사람일세. 내 입으로 자랑을 하려니 좀 쑥쓰럽군, 허허~. 내가 살던 19세기 말에는 전기 그 자체가 신기한 존재였다네. 그런데 21세기에는 더 신기하고 재미있는 ‘발전’, 즉 전기를 만드는 방법 ...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번 주말에는 영욱이네랑 지인이네랑 같이 놀러가자. 응~, 야경이 예쁜 곳이라고 하니까 이왕이면 오후에 가자. 건물 모양도 특이하고, 셀카 찍으면 잘 나오는 곳이 많다니까 카메라 어플 좋은 거 받아와. 그럼 오후 3시에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어울림 광장 앞에서 만나!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꼭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해가 기울고 어둑어둑해진 산길. 덥고 습한 날씨 탓인지 숨이 턱턱 막히고 이마에 땀이 송골송골 맺힌다. 서늘해 보이는 나무 그늘로 들어오니 맴맴~ 우렁찬 합창 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옆에 서 있는 나무기둥에는 매미 약충★ 한 마리가 숨을 돌리고 있다. 땅속에서 기나긴 어둠을 이기고 밖으로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과 영드 ‘셜록’의 공통점은? 컴퓨터의 아버지 튜링을 다룬 영화와 최고 인기의 탐정이 나오는 영화에 어떤 공통점이 있는 거지, 라고 고민한다면 실망스럽다. 답은 간단하다.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주인공을 맡았다. 자폐증이라도 걸린 것처럼 자기만의 세계에 푹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5월 20일, 메르스 첫 감염자가 확진 판정을 받고 여러 언론에서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기사를 내보냈다. 기사 내용 중 가장 충격적이었던 사실은 40%에 달하는 치사율. 세계보건기구(WHO)가 2015년 2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확진 판정을 받은 971명 중 356명이 사망했다. 계산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슈퍼 엘니뇨가 뭐기에엘니뇨는 적도 동태평양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이다. 평소 이 지역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무역풍이 불고 있다. 무역풍은 태평양 표층의 따뜻한 바닷물을 서쪽 해안으로 쌓아놓는 역할을 한다. 이 영향으로 서태평양은 수위가 높아지고 해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30억 년 전, 지구가 아주 어렸을 때 이 땅의 모습은 어땠을까.과거의 지구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육지는 훨씬 적었고 대부분은 바다로 덮여 있었다. 눈에 보일 만한 생명체는 전혀 없었고, 약간의 미생물만이 물속에 존재했을 뿐이다. 그 중에서도 지금과 가장 다른 점은 대기에 산소가 없었다는 점 ...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먼 우주까지 직접 가볼 수는 없다.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건 지구에서 보이는 우주의 모습뿐이다. 우주의 비밀을 풀려면 수십 억 년 전에 출발한 별빛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수밖에 없다. 현실세계에서는 불가능하지만, 소프트웨어(SW)를 활용하면 시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관측 데이터와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