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즉 한 집단의 구성원은 집단의 영역 밖에 있는 다른 집단에 대해서 늘 경계할 수밖에 없었다. 박 전문의는 “오랜 경험을 통해 외집단(자신의 집단이 아닌 모든 다른 집단)에 대해 일단 경계하고 배척하려는 경향이 인류의 유전자와 문화에 깊게 각인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불확정성 원리를 부정하려다가 망신 당하는 것을 본 터라 대부분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 양자역학을 공부하다보면 양자역학의 여러 개념 중 불확정성원리가 가장 중요하다는 느낌이 든다. 하이젠베르크의 이름이 사방에서 튀어나오고, 이상한 현상들이 나타날 때마다 툭하면 불확정성원리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파장까지 보는 파충류와 새를 유혹하기 위해 빨갛고 노란 열매를 만들었는데, 2가지 색밖에 못 보는 초기 영장류는 불리했죠. 결국 초기 영장류 역시 잘 익은 열매를 찾기 위해 3색각을 발달시켜야 했던 겁니다.집단생활과 직립보행을 시작하다나는 앞서 언급한 서스만 교수의 가설을 지지합니다. ... ...
-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임의의 두 직선은 반드시 두 점에서 만난다(그림3 참고). 따라서 한 직선과 직선 밖의 한 점이 주어졌을 때, 그 점을 지나면서 그 직선과 평행한 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구 위에 삼각형을 그리면 뚱뚱한 삼각형이 되기 때문에 세 내각의 합은 180°보다 크다.지구는 실제로는 구에 가까운 ... ...
- 우주의 꿈, 화성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감이 잘 오지 않는다면 달과 비교해보면 된다. 인류는 겨우 38만km 떨어진 달에 몇 번밖에 다녀오지 못했다. 이보다 수백배 나 먼 곳까지 무사히 여행하는 게 가능할까. 산적한 기술적, 생물학적, 천문학적 문제를 어떻게 풀 수 있을지, 다음 이야기에 주목해보자 ... ...
- BRIDGE. 경주 방폐장 부지, 과연 ‘안녕’한가?과학동아 l2014년 03호
- 2.84×10-9~1.77×10-6m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기술됐다. 아무리 빨라도 하루에 8cm밖에 이동하지 않아 지하수 속도가 낮다는 의미다.하지만 이후 평가된 지하수 속도는 가장 강한 암반에서조차 초속 2~7×10-4m로 평가돼 하루 평균 40m 이동할 정도로 빠른 것으로 확인됐다. 방폐장 지역 암반층이 ...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장보고기지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시설이다. 춥고 건조한 남극의 자연 조건 덕분에 지구 밖에서 들어온 운석은 거의 훼손되지 않은 채 보존되어있다. 운석을 채집해 습기를 완전히 말린 뒤, 청정하게 보관해야 연구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장보고기지에는 이 운석을 보존하기 위한 1차 저장소가 준비될 ... ...
- 고대어류 ‘틱타알릭’, 물속에서 이미 ‘뒷다리’ 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안녕? 지구를 정복하려고 정글로 겨울여행을 떠나고 있는 닥터 그랜마예요. 갑자기 웬 정글탐험이냐고요? 사람들은 너무 똑똑해서 제 말을 잘 듣지 ... 물속에 들어 있는 산소로 숨을 쉬어요. 그래서 물고기들이 아무리 걷는 연습을 한다고 해도 물 밖에서는 숨을 쉴 수도, 살 수도 없지요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양은 맛을 느끼는 전자 혀와 마찬가지로 베버-페이너의 법칙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그밖에도 독한 냄새를 맡았을 때 몸을 피하는 동물들의 반응에서 착안해, 이미 청소한 곳은 다시 지나가지 않도록 로봇청소기를 설계하기도한다.수학, 로봇을 생각하게 하다!냄새를 맡고 길을 찾는다니, 로봇 눈과 ... ...
- 마임하는 수학자, 팀 샤르티에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상황극을 통해 튜브의 모양이 아무리 달라져도 위상은 변함없다는 것을 이해시키죠. 그밖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끝없는 밧줄을 이용한 공연을 통해서 ‘무한’이라는 개념을 이야기하기도 합니다.때로는 대학교 수업에서도 마임을 활용해요. 학생들이 잘 이해하지 못해 혼란스러워 할 때면, 잠시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